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문학
문학 이미지
Q.  어른이 읽을만한 그림책 TOP10을 꼽는다면?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그림책 중에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깊은 감동을 주는 작품들이 많습니다. '도착'(숀 탠)은 이민자의 여정을 말없이 그림만으로 표현해 어른들에게도 울림을 주며 '나는 강물처럼 말해요'(조던 스콧)는 말 더듬는 소년의 성장을 섬세하게 그려 위로를 전합니다. '별이 내리는 밤에'(센주 히로시)와 같이 대사 없이 그림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책들도 있고 '리디아의 정원'(사라 스튜어트)은 도시에서 작은 변화를 만들어 내는 따뜻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오리건의 여행'은 불안한 일상 속(티에리 드되)에서도 삶의 영감을 찾아가는 메시지를 담아 워킹맘 등 성인 독자에게도 큰 공감을 얻습니다. '내가 함께 있을게'(볼프 에를브루흐)는 죽음을 다룬 섬세한 표현으로 어른들에게 삶과 상실을 돌아보게 하며 '염소 시즈카'(다시마 세이조)는 일상 속 소중한 순간을 그림일기로 풀어내 감성을 자극합니다. '달님 안녕'(하야시 아키코)은 부모와 아이 사이의 따뜻한 교감을 담은 이야기로 그림의 감성이 어른에게도 고요하고 치유가 되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구름빵'(백희나)은 가족들의 사랑과 일상 속 작은 이야기를 구름빵이라는 소재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만희네 집'(권윤덕)은 가족들의 일상을 잔잔하고 섬세하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마리아 소피아 폰 에르탈이 백설공주 동화의 원형이라는 주장의 근거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마리아 소피아 폰 에르탈이 동화 '백설공주'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주장은 1980년대 독일 약사 카를 하인츠 바텔스가 제기한 이론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녀의 삶과 백설공주 이야기 사이에 유사한 요소들이 있다는 데에서 근거를 찾습니다. 실제로 마리아 소피아는 1725년 독일 로어 암 마인 지역에서 태어난 귀족 여성이며 계모에게 차별을 받았다는 기록, 유리 및 거울 제조로 유명한 집안 배경, 로어 인근의 일곱개 언덕과 광산 지대, 그리고 지역에 실존하는 '마법의 거울' 등이 이야기 속 설정과 비슷하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특히 광산 노동자들이 키가 작았다는 점을 '일곱 난쟁이' 설정과 연결 짓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지역 전설이나 관광 마케팅 차원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로 소비되고 있을 뿐 민속학자나 역사학계에서는 신빙성이 없는 추측으로 간주되며 학문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마리아 소피아가 백설공주의 실존 모델이라는 주장은 사실이라기 보다는 흥미로운 민간 전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럴때 어떻게 대처할가요ㅜㅜ!!!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사람들 사이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오히려 삶의 여러 부분의 일들보다 더 많은 요즘 현실인 것 같습니다. 애매한 문제여서 왜 그런 말을 반복하느냐고 직접적으로 물어보기도 애매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먼저는 질문자님께서 극복하는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무시하고 감정이 상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지요. 다른 한 방법은 이야기하거나 만나는 횟수를 줄이는 것입니다. 나 자신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계속 주는 사람을 자주 만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말 친하고 인간관계를 끊어내기 어려운 사람이라면 진지하게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인도에서 과자를 보니깐 마살라라고 쓰여져 있던데 그건 뭔가요?? 인도 전통 음식 소스 그런건가요?? 아니면 어떤의미로 쓰여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마살라(Masala)는 인도의 다양한 향신료 혼합제품을 뜻하는 말로 요리나 간식에 풍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인도 과자나 스낵류에 '마살라'라고 적혀 있다면 향신료가 첨가된 매콤하고 짭짤한 맛이 특징이라는 의미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말의 'ㅢ' 의 발음이 'ㅣ'로 나타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우리말에서 '의'가 [이]로 발음되는 경우는 주로 단어의 두 번째 음절 이후에 올 때입니다. 예를 들어 '결의'는 [겨릐]라고도하지만 [겨리]로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사의 경우 예를 들어 '나의 가방'에서 '의'는 [의] 또는 [에]로 발음할 수 있어 [나의]와 [나에] 모두 가능하며 일상생활에서는 '에'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단어의 첫 음절에 오는 '의'는 반드시 [의]로 발음해야 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