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23일 작성 됨
Q.
얼마전 1박2일을 보는데요. 녹진함이 가늑하다고 하는데요. 이 녹진함은 어떨때 쓰는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녹진함은 주로 음식이나 촉감과 관련하여 부드럽고 끈적하며 진한 느낌이 배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국물이 깊고 진한 맛을 낼 때나 기름지고 부드러운 식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촉촉하고 매끄러운 감촉이나 감성적으로 풍부한 분위기를 나타낼 때도 쓰일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23일 작성 됨
Q.
시인 이육사 적극적 저항/소극적 저항시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이육사의 적극적 저항시는 '광야'로 이 시는 웅대한 자연과 강한 어조를 통해 일제의 억압에 굴복하지 않는 민족의 기상을 드러냅니다. 특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와 같은 구정레서 강한 저항의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소극적 저항시는 청포도로 이 시는 표면적으로 자연과 기대를 노래하지만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는 구절을 통해 민족 해방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적극적 저항시는 직접적인 항거의 태도를 보이고 소극적 저항시는 희망을 통해 저항의식을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2025년 2월 22일 작성 됨
Q.
'무지개'의 어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15세기 문헌에서 '므지게'로 쓰였습니다. '므지게'는 '물을' 뜻하는 '믈'과 '문'을 뜻하는 '지게'가 합쳐진 말입니다. 물방울이 반사되어 형성되는 무지개의 특성을 반영하여 단어 '믈'을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둥근 타원형의 무지개 모양이 마치 땅에서 하늘로 올라 갈 때의 통과해야 할 '문'으로 여겨 '문'을 뜻하는 '지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외에서 무(무리, 많음), 지개(지게의 옛말 또는 활처럼 둥근 것)가 합쳐져 무지개가 되었다는 설도 있고 몽골어 기원설도 있습니다. 무지개는 고유어로 '많이 둥근 것' 또는 '무리 지어 퍼지는 둥근 빛'과 관련된 뜻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우수한 창작물은 어떤기준으로 보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우수한 창작물은 독창성과 완성도를 갖추고 전달력과 공감을 통해 감동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깊이 있는 주제를 담고 있으며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작품이 가치 있게 평가됩니다.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서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는 지속성도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국어 문학에서(환기하다)의 정의와예시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환기하다는 공기나 분위기를 새롭게 한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먼저 실내 공기를 맑게 하기 위해 바람이 통하게 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방 안이 답답하니 창문을 열어 공기를 환기하자'처럼 사용됩니다. 다음으로 어떤 생각이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의미로도 쓰이며 '그 영화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환기하는 작품이었다.'와 같은 예가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의미와 감정이나 분위기를 새롭게 만드는 의미를 모두 포함합니다. 1인칭 주인공 시점과 관찰자 시점을 구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나'라는 인물이 사건에 중심에 있는지 '나'의 감정과 생각이 잘 표현되고 이야기가 '나'의 행동이나 말을 통해 진행될 때 '나'를 주인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1인칭 관찰자 시점의 '나'는 중심되는 사건이 있어도 전달하는 역할만 하고 이야기의 중심인물들은 따로 존재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