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세재계약시 확정일자는 언제다시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재계약서를 작성한 날짜부터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2025년 1월 8일에 재계약서를 작성하신다면, 그 즉시 주민센터나 인터넷 등기소에서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는 계약 기간 만료 여부와 상관 없이 계약서 작성일을 기준으로 부여가 됩니다. 따라서 계약 기간이 아직 끝나지 않았더라도 재계약서를 쓰고 바로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새로운 확정일자를 미리 받아 두시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으니,계약서 작성이 되시면 바로 받아 두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Q. 조합원 아파트가 4년만에 준공하면 빠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조합원 아파트가 4년 만에 준공되는 것은 비교적 빠른 편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성이 있는 일정인지, 혹은 다른 의도를 가진 주장인인 평가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검토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지방 조합원 아파트의 평균 개발 기간은 6~8년 정도가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4년 만에 준공이라는 말이 나온다면 큰 갈등이 없이 공정이 순조롭게 진행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4년만에 준공된다는 주장은 가능은 하지만, 매우 빠른 일정에 해당하며,그 만큼 모든 절차가 아무런 문제 없이 효율적으로 진행이 됐다는 걸 의미 합니다.따라서 조합측에서 불확실한 일정을 홍보하거나 분담금 인상을 유도하는 경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Q. 아파트 공급가는 보통 어떻게 정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 가격이나 분양가를 책정하는 데에는 단순히 물가상승률만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칩니다. 분양가 책정은 아래와 같은 비용들을 기준으로 책정이 됩니다.건축비 - 자재비, 노무비, 기계비 및 설비비 등토지비 - 토지 구입 가격기타비용 - 설계비, 감리비, 홍보비, 금융(이자) 비용, 기타 비용 등분양가는 단순히 물가상승률만 반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재비, 인건비, 토지비, 금융비용 등의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책정이 됩니다.분양가가 합리적인지 확인하려면 비슷한 입지 면적, 건축 연도의 다른 단지와 비교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Q. 집살때 집값, 취등록세 말고 또 뭐가 드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 매매 취득세 외에도 기타 비용들이 부수적으로 발생을 합니다.취득관련 비용으로 대표적으로 취득세가 있으며 그외에,말씀 하신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기 비용, 법무사 수수료와 등록면허세도 납부를 하셔야 합니다.이러한 부분들은 부동사 중개사, 법무사 등과 같이 등기 업무를 처리 하면 알아서 처리해 줍니다.세금관련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새로운 집으로의 이사 비용, 청소비용, 인테리어를 새로 한다면 인테리어 비용 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