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세 15%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7월 말일 한미 관세 협정으로 한국산 수출품에 15% 관섹 부과되며, 수출주도형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자동차 산업은 관세 부담으로 대미 수출이 2025년 5월 기준 32% 감소하며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었습니다. 반도체는 현재 무관세이나 추가 관세 리스크가 존재합니다.GDP는 0.3~1.0% 하락이 예상되며, 단기적으로 수출감소와 기업 수익성악화가 우려됩니다. 장기적으로 미국 내 투자확대(3,500억 달러) 로 충격 완화 가능성이 있으나, 적시호로 평가됩니다.
Q. 국내 주식은 어떤 대형주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국내 대형주는 시가총액 기준 상위 기업들로, LG화학과 삼성전자 외에 현대차, SK하이닉스, 네이버, 카카오, 삼성SDI, 포스코홀딩스, LG에너지솔루션, 현대모비스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동차, 반도체, IT, 배터리, 철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선두를 달리는 기업으로 2025년 기준, 이들 기업은 기술 혁신과 친환경 트렌드 수혜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 대형주는 테슬라, 애플 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알파벳, 메타 등이 있으며, AI와 전기차 산업에서 현재의 시장에서 강세입니다.
Q. 연봉 1억 정도 되고 부채가 없다면 마이너스 대출은 어느정도 선에서 받을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연봉 1억 원, 부채 없는 공기업 과장의 경우, 마이너스 통장 대출 한도는 은행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연소득의 1배 수준까지 가능합니다. 2025년 기준, NH농협은행의 ‘NH공무원대출’은 최대 3억 원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소득수준의 1배 이상으로 신용대출이 불가하도록 제지하고 있습니다. 금리는 연 3.46~4.76% 수준으로 하나은행은 최대 5,000만 원, 국민·신한은행은 1억 원 내외입니다. 신용등급 1~2등급, 3개월 이상 재직 시 최대 한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한도는 은행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과 내부 심사 기준에 따라 달라짐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연봉 3200만원이 연봉 중위권인가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대한민국 직장인 연봉 중위값은 약 3,200만 원(월 260만 원 수준)입니다. 연봉 3,200만 원은 중위권에 해당합니다.이는 전체 근로자를 연봉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소득으로, 약 절반이 이보다 낮고 절반이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평균 연봉(4,332만 원)보다 중위값이 낮아 상위 소득층의 영향으로 평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3,200만 원은 중위권에 근접하며, 전체 직장인의 약 50% 지점에 위치한다고 합니다.
Q.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데 왜 금가격은 2.5프로나 떨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8월 11일 금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금값이 2.5% 하락했습니다. 이에 앞서 8월 8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금괴 관세 부과 가능성 공지로 금값이 사상 최고치($3,534/온스)로 치솟기도 했지만 금수입 관세 부과의 제외에 하락 큰 폭의 하락을 보인 것입니다. 이는 관세 부과 우려가 사라지며 시장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금의 안전자산 프리미엄이 낮아졌고 이에 따라 금 선물은 $3,404.70/온스로, 현물 금은 $3,358.33으로 하락했습니다. 결국 안전자산으로 프리미엄이 낮아지자 강달러와 금리 인하 기대에 대한 약화로 이어져 금의 가격의 하락을 부추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