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은 현재 50에서 10억 하향하는 방안에 대한 논란은 2025년 세제개편안 발표 후 코스피가 3.9% 급락하면서 이슈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정부와 민주당은 8월 10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고, 전문가들은 10억 원 기준이 연말 매도세를 유발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으며 정부는 조세 형평성과 세수 확보(약 2,000억 원)를 위해 10억 원 복원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여당 내 반발과 민심 악화를 고려해 50억 원 유지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최종 결정은 9월 정기국회에서 확정될 전망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번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의 인하는 코스피 5,000 목표와 상충된다는 비판이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Q. 비트코인을 업비트로 옮기면 BTC/krw로 들어오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해외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업비트로 전송할 때, 업비트 BTC 입금주소로 보내면 비트코인(BTC) 형태로 입금됩니다. 업비트는 BTC를 원화로 자동 변환하지 않으며, 입금된 BTC는 업비트 계정의 원화계정으로 BTC 잔고로 반영이 됩니다. 이후 BTC/KRW 거래 페어를 통해 직접 매도해야 KRW로 전환됩니다. 해외거래소가 USDT 기반이더라도, BTC 전송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KRW 변환 없이 BTC로 입금이 가능합니다. 다만 BTC를 직접송금할 경우 송금수수료가 많이 나올 수 있음으로 일반적으로 XRP 또는 USDT로 전환하여 입금한후 다시 BTC 를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Q. 금리 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인하가 시작될 때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는 경제 상황과 시장 기대감 때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는 경제 둔화나 침체 우려가 커질 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결국 금리의 인하는 주식시장에 단기적으로 호재로 작용하지만 그만큼 기업의 입장에서 경기가 좋지 않아 기업 실적 악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작용하여 중기적으로 주가를 하락하게 합니다. 또한, 금리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주가에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아, 실제 인하 시점엔 예상된 호재(?) 으로 매도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금리 인하가 충분히 경제를 부양하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론이 퍼지면 투자 심리가 위축될 것이고 주가는 더 하락하게 될 것입니다.
Q. 기초수급자의 경우 기준이 어떻게 되야 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은 소득인정액과 재산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239만 2,013원)의 32%(생계급여, 76만 5,444원), 40%(의료급여, 95만 6,805원), 48%(주거급여, 114만 8,166원), 50%(교육급여, 119만 6,007원) 이하여야 한다. 연 소득 2,000만 원(월 166만 6,667원)은 모든 급여 기준을 초과하므로 수급 자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재산(수도권 3.5억 원, 비수도권 2억 원 이하)과 자동차(시가 950만 원 이하) 기준도 충족해야 합니다. 수급자격이 주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