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부간 지출을 계획할때, 소득이 높은쪽에게 지출을 몰아주는게 더 좋나요?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맞벌이 부부의 경우 지출은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편의성도 좋지만 소득공제관점에서 본다면 부부합산 총지출액과 각자의 소득세율, 소득공제 조건을 비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더 높은 배우자가 신용카드 사용액이 많을수록 세금 공제 혜택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부의 연봉과 세율을 고려하여 지출 카드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또한 각종 공제항목별로 유리한 공제조건을 가진 배우자 명의로 지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은 공제한도와 세율이 다르므로 세금계산을 미리 해보고 유리한 쪽으로 지출하면 됩니다.마지막으로 생활비 관리의 편의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고정비용(월세, 공과금 등)은 한 사람이 전담하고, 변동비용은 수입 비율에 따라 분담하는 등 부부가 합의하에 효율적인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재무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지출도 줄일 수 있습니다.
Q. 새해 계획 세우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현실적인 자산관리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실적인 예산'을 정하는 것이 우선됩니다.지난 1년간 나의 지출을 분석해 보고내년 지출 예산을 정하시면 되는데요.지출을 정기지출과 비정기 지출로 항목을 구분하고정기지출 항목은 월별,비정기지출 항목은 연간 예산을 정하세요.예를들어 매월 식대, 교통비, 통신비, 보험료 등은 정기 지출.쇼핑, 여행, 경조사 등은 비정기 지출로 구분합니다.정기지출과 비정기 지출 예산이 정해졌다면 비정기 지출 예산을 월 환산하여 내년 월 평균 지출 예산을 정하세요.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정기지출과 비정기지출 관리 계좌를 구분하고 정기지출은 신용카드, 비정기 지출은 체크카드로 결제하여 소비통제력을 강화하시기 바랍니다.저축과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자산증식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 내용을 반드시 선행하시고, 나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고민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