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전문가입니다.

김선도 전문가
Q.  태극기를 게양 하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던데..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https://www.mois.go.kr/frt/sub/a06/b08/nationalIcon_2_3/screen.do아래와 같습니다. 국기와 다른 기의 게양 방법「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국경일3ㆍ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기념일 중현충일(6월 6일, 조기), 국군의 날(10월1일)「국가장법」 제6조에 따른 국가장 기간(조기)정부가 따로 지정한 날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또는 지방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날국기를 연중 달아야 하는 곳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청사, 각급 학교와 군부대 (낮에만 게양)가능한 한 국기를연중 달아야 하는 곳공항·호텔 등 국제적인 교류장소대형건물·공원·경기장 등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주요 정부청사의 울타리많은 깃대가 함께 설치된 장소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국기를 다는 시간국기는 매일·24시간 달 수 있으나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야 한다.학교나 군부대는 낮에만 단다.국기를 매일 게양·강하하는 경우- 다는 시각 : 오전 7시- 내리는 시각 : 3월 ~ 10월까지는 오후 6시, 11월 ~ 2월까지는 오후 5시국기가 심한 눈·비와 바람 등으로 그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다.[관련 법령]대한민국 국기법 제8조(국기의 게양일 등)대한민국 국기법 시행령 제12조(국기의 게양·강하 시각)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4조(국기 게양일 및 게양·강하 시각)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8조(국기의 야간 게양)
Q.  의사와 열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의사"와 "열사"는 모두 독립운동가를 칭하는 말로, 그 차이는 두 사람의 행동과 희생의 정도에 따라 붙이는 칭호입니다."의사"는 "義士"라는 한자에서 유래된 말로, "의"는 의리를, "사"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는 무력(武力)을 통해 저항하며, 그 과정에서 목숨을 헌신한 사람을 가리키는 칭호입니다.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이봉창 의사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반면, "지사(志士)"는 '志'가 '의지'를, '사'가 '사람'을 의미하므로, 그 뜻은 '의지를 가진 사람' 혹은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몸을 바쳐 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이처럼 "의사", "열사", "지사"는 모두 독립운동가를 칭하는 말이지만, 그들의 행동, 희생의 정도, 헌신의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칭호들입니다.아래는 위키백과 사전 내용입니다.독립운동 등 항일 운동을 하다가 순국하신 선열들에게는 '열사' 혹은 '의사'라는 칭호가 붙는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열사'라는 칭호가 붙고, 어떤 분들에게는 '의사'라는 칭호가 붙는다. 이 '열사'와 '의사'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그리고 의미는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칭호로 '지사' 및 '투사'도 있다. 이런 호칭들의 차이점도 같이 알아보자.의사(義士) : 의로운 지사사전에는 위와 같이 간단하게 풀이하고 있으나, 이것은 '의리와 지조를 굳게 지키며, 때로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열사(烈士) :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즉, '절의를 굳게 지켜 이해에 동하지 아니하고 위엄으로 굴하게 할 수 없는 선비' 또는 '물질상의 이해나 권력에 대해서도 굴하지 않고 절의를 굳게 지키는 사람'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Q.  태극기는 언제부터 사용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코우기님 안녕하세요.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서, 공식적으로는 1883년(고종 20년)에 처음 제정되었습니다. 이때 만든 국기는 태극기로 알려져 있으며, 마크 토니 오글비(영국인)가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하지만 그 이전에도 조선 후기의 관료인 박경수가 만든 '채송화장휘'와 같은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태극문양이나 오방색(청: 동, 흑: 북, 적: 남, 백: 서, 황: 중앙) 등을 이용한 국기 비슷한 것이 존재하였습니다.태극기는 고종황제가 대사관이나 영사관 등 외국과의 공식적인 접촉 때 사용하기 위해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의 태극기는 현재와는 다르게 태극문양 외에도 별, 해, 달 등이 그려져 있었습니다.대한제국 선언 후에는 태극기를 국기로 사용하였고,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이 국기로 삼아 독립의지를 표현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1948년에 제헌국회에서 현재의 모습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법'을 제정하게 되었고,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서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추가적으로 우리나라 태극기의 변천사는 다음과 같습니다.근대 국가가 발전하면서 세계 각국은 국기를 제정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국기 제정은 1882년(고종 19년) 5월 22일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조인식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당시 조인식 때 게양된 국기의 형태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다만, 최근 발굴된 자료인 미국 해군부 항해국이 제작한 ‘해상국가들의 깃발(Flags of Maritime Nations)’에 실려 있는 이른바 ‘Ensign'기가 조인식 때 사용된 태극기(太極旗)의 원형이라는 주장이 있다.1882년 9월 박영효는 고종의 명을 받아 특명전권대신(特命全權大臣) 겸 수신사(修信使)로 일본으로 가던 중 선상에서 태극 문양과 그 둘레에 8괘 대신 건곤감리 4괘를 그려 넣은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그 달 25일부터 사용하였다. 10월 3일 본국에 이 사실을 보고하자, 고종은 다음 해인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공포하였다. 그러나 국기를 정식으로 공포할 당시 국기제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탓에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다.『통상장정성안휘편(通商章程成案彙篇)』 속의 대청국속고려국기(大淸國屬高麗國旗), 고종의 외교고문 데니가 소장하고 있던 태극기, 독립문에 새겨진 태극기, 전남 구례에서 활약한 의병장 고광순의 불원복(不遠復) 태극기, 동덕여자의숙 태극기, 명신여학교 태극기,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 대한황제폐하 몸기 그림 등을 통해서 대한제국기의 다양한 태극기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국권이 점차 기울어져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국기제정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독립운동의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태극기가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한 태극기로는 1919년 3.1운동 당시 제작된 평양 숭실학교 태극기, 2009년 서울 진관사에서 불상 해체과정에 발견된 태극기, 독립운동가 남상락이 손바느질로 만든 자수 태극기, 상해임시정부 국무위원 김붕준이 제작한 임시의정원 태극기, 일제강점기 미국에서 한인들이 제작한 ‘대한독립만세’ 삼각태극기, 김구 서명문 태극기, 한국광복군 태극기 등 다양한 태극기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2년 이렇게 다양한 태극기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하여 「국기통일양식」(國旗統一樣式)을 제정·공포하였지만 일반 국민에게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출처: 국가기록원
Q.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는 누구로 평가하고 있는가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철학자들은 시대, 문화, 그리고 그들의 개인적인 경험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아이디어와 가르침은 다른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로 종종 언급되는 몇 가지 이름이 있습니다.소크라테스: 그는 질문하는 방식으로 유명하며, 그의 "아는 것이 없음을 알게 된다"는 겸손한 태도와 도덕적 생활에 대한 강조는 서양 철학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플라톤: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그는 이상적인 국가에 대한 비전과 사상의 영역에 대한 통찰을 통해 철학을 형성했습니다.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제자로, 그의 철학은 논리, 과학, 정치, 윤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습니다.칸트: 그는 지식의 한계와 도덕의 본질에 대한 중요한 이론을 개발하였고, 그의 철학은 현대 철학의 중심부를 형성하였습니다.니체: 그의 "신은 죽었다"는 주장과 함께, 그의 철학은 개인의 자유와 창의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현대 사상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습니다.이 외에도 많은 철학자들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철학자들이 개별적으로 위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사상과 가르침이 철학이라는 공동체 내에서 서로 상호 작용하며 통찰력과 진보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입니다.
Q.  우리나라에 서양음악이 도입된 시기와 그 영향이 궁금합니다.
위용있는불독38님 안녕하세요.1885년은 연희(현재 세브란스 병원) 그리고 배재학당 이렇게 설립된 년도입니다.서양 음악이 한국에 처음 도입된 시기는 조선 말기로, 주로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전파되었습니다. 이들 선교사들은 서양의 종교 음악을 가지고 왔고, 그래서 초기에 도입된 서양 음악은 대부분 교회 음악이었습니다.한국의 서양 음악 도입은 1885년에 도착한 호라스 알렌 박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첫 번째 선교사이자 의사로서,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청림원을 설립했습니다. 알렌은 교회에서 오르간을 연주하며 서양 음악을 한국에 소개했습니다.그 후, 1895년에는 미국의 선교사 H.N.Allen이 ‘만민찬송가’를 개정하여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서양화된 찬송가를 출판하였고, 1907년에는 선교사 W.D.Reynolds가 한글로된 '찬송가'를 편찬해 배포했습니다.서양 음악의 도입은 한국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교회에서 사용되는 서양 음악은 서양 음악의 기본 원리와 형식을 한국 사람들에게 소개했고, 그 결과 한국의 전통 음악에도 서양 음악의 영향이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특히 조선 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에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20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서양 음악은 한국 음악, 특히 대중 음악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양 음악의 다양한 장르들이 한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한국 음악가들은 서양 음악의 스타일과 기법을 자신들의 음악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K-POP과 같은 독특한 음악 형태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