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채수환 전문가
조남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창의력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창의력은 글쓰기나 만들기, 혹은 독창적인 사고력이 드러나도록 하는 평가 도구를 사용합니다만 창의력이라는 것 자체가 수치화하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관찰, 과정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숙제는 꼭 해야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숙제는 단순히 그 내용 자체에 국한해서 중요성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숙제를 하면서, 내용을 이해하는지 확인 혹은 도움이 된다는 점, 더 나아가 공부 습관과 생활 습관을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므로 숙제를 꾸준히 하도록 해 주세요. 내용이 적다고 생각해도 누적하면 굉장히 큰 도움이 되는 양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숙제가 너무 많을때 부모는 어떻게 도와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숙제가 너무 많다면, 아이가 숙제를 잘하고 있는지 보면서 조언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말씀처럼, 숙제는 스스로 해야 본인의 성장과 학습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언과 피드백을 주는 것을 중심으로 해주시고, 어려워 하는 것에 힌트를 주는 정도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아이의 시험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은?
안녕하세요.아이의 시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험을 잘 보지 못해도 괜찮다고 평소에 아이의 긴장과 불안을 풀어주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세요. 그리고 시험에서 잘 보지 못한다고 해도 이건 실패가 아니라는 점, 부족한 부분을 채워 다음을 더 잘 보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는 점을 안내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잘 살펴 주시고, 달래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부모와의 어떠한 추억들을 보통 기억하나요?
안녕하세요.같이 여행을 간다거나, 캠핑을 간다든지 등의 추억을 아이들이 기억할 수 있습니다.또한 아이들은 생각보다 사소하거나 가볍다고 여겨지는 것에도 꽂힐 수 있어서, 의외로 평범한 대화나 순간을 기억할 수도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교에서 시험 대신 수행평가가 증가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지필 평가로 인하여 아들의 학습 부담이 커지고, 스트레스 등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결과 중심의 평가라는 점에서 과정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독서 습관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
안녕하세요. 독서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하루에 짧은 시간이라도 좋으니 책을 읽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호자가 책을 읽어주거나, 오디오 북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으며 처음에는 학습 만화나 그림책 등 가벼운 책으로 아이의 독서 흥미를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수학을 어려워하는 아이에게 어떻게 접근하죠?
안녕하세요. 수학을 싫어한다면 수학을 단순히 암기와 문제 위주로 접근하지 않고, 이해 위주로 접근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루에 풀어야 하는 분량을 줄여서 부담을 줄여 주시고, 수학이 우리의 생활과 본인이 좋아하는 것 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 아이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해 주세요.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이 영어를 잘 배울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초등학생이 영어를 잘 배우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닉스를 기반으로 어떠한 문자가 어떠한 소리가 나는지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모르는 단어도 추측해서 소리를 낼 수 있어요. 그리고 초반에는 활동, 놀이, 챈트 등을 중심으로 아이가 흥미를 가지도록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중2 일차부등식 수학 문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이 문제를 푸실 때 생각하셔야 하는 건 위의 문제에서 해가 x아래도 똑같습니다. 해가 x≤4이므로, 여기서도 4를 맞추기 위해서 a 값을 정해 주는 거예요. (역시 x 값을 구하는 게 아니라, x≤4를 만들기 위해 a의 값을 맞춰 주셔야 하는 작업입니다.)아래 손글씨로 쓴 풀이를 참고해 보시고, 모르겠다면 답글 남겨 주세요.
311
312
313
314
3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