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용기를 심어주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아이가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아이에게 긍정적인 격려와 칭찬을 많이 해 주셔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도전을 응원해 주시면서, 아이가 적절한 난이도, 그리고 아이 수준에 적절한 도전을 할 수 있도록 권해 주시고, 도전에서 성취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연습을 집에서 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Q. 친구들 사이에서 소극적인 아이,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아이가 소극적인 것은 기질일 수도 있어서, 단기간에 이게 고쳐지기는 어려울 수 있어요. 그리고 아이가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에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스스로 바꾸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등도 고려해야 할 것 같아요. 자신감을 높이도록 해 주기 위해서는 아이가 가정 내에서 다양한 활동과 도전을 통해서 스스로 성공 경험을 얻도록 해 주세요. 그리고 먼저 익숙한 가족 구성원, 친구에게 자신 있게 표현하도록 해 주세요. 아이가 자신감 있게 말하고, 표현할 때마다 긍정적으로 칭찬과 격려를 해주어 아이의 적극성이 이어지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숙제를 하다가 자꾸 딴짓을 하는 아이, 집중력을 키우게 하기 위해서는?
안녕하세요. 숙제를 해야 하는 시간에는 숙제만 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가능한, 숙제를 하는 데에 방해가 되는 티비,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먼 곳에 두고 가까이서 하지 않도록 해 주세요. 그렇다고 계속 감시하기보다는 아이가 앉아서 해야 함을 강조하고, 빨리 숙제를 끝내고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는 걸 아이에게 안내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친구들과의 놀이에서 다른 친구의 장난감을 빼앗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인지하도록 해주시고, 아이가 스스로 본인의 잘못을 다른 친구에게 진심으로 사과하여 마음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다른 친구의 물건을 빼앗는 행위가 왜 잘못된 건지, 만약 그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었다면 어떻게 해야 했는지, 다시 같은 상황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건지 등을 가정하여 아이가 어떻게 행동했어야 했는지 안내해 주고, 아이가 실천할 수 있도록 다짐을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초등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초등학교에서의 음악 수업, 교육은 아이에게 심미적 감성을 키워 주어 아이가 다양한 음악을 듣고 분석하는 힘, 그리고 감성적으로 느끼는 힘을 길러 줍니다. 또한 음악에서의 다양한 감상, 표현, 생활화를 통해서 교양 있는 사람이 되는 데에 필요한 자질을 기르며, 음악을 즐기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봐주시면 됩니다.
Q. 학습지 선생님은 어떤교육을 받고 선생님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학습지 선생님의 경우, 엄격한 학력 제한이 있거나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압니다. 업체마다 다르지만, 오히려 아이들을 사랑으로 품을 수 있고, 아이들을 좋아하는지 등에 대한 인성 요소, 성실성 등을 더 중요하게 보며 최소한 대졸 이상의 학력을 보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업체에서 교육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를 안내해 줄 겁니다.
Q. 초등 자녀가 원하는 것을 부모는 다 들어주는 것이 교육적으로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태블릿은 많이 비싼 기기이고, 또 단번에 사주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비싼 물건을 쉽게 사주는 경험이 아이의 소비 습관 등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교육적이라고 생각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태블릿이 없다고 해서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를 설명하며 태블릿을 지금 사주지 않는 이유를 말해주고, 아이가 앞으로 열심히 그리는 모습을 보고 결정해 나가는 것이 더 교육적이라고 생각합니다.
Q.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를 기르기 위한 학습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돕기 위해서는 다양한 책을 읽고, 이 책을 읽으면서 어휘력, 문해력을 기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어떠한 정보를 접할 때, 책을 읽을 때 단순히 그 자체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 정보가 사실인지, 근거가 명확한지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받아들이는 연습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