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채수환 전문가
조남초등학교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의 기질은 어떻게 확인 해 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동발달센터 등에서 이러한 검사를 해주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아이가 어리다면 이러한 검사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는경향이 있기는 합니다. 그것을 감수하고 한다면, 검사는 가능하므로 인근의 아동발달센터에서 상담, 검사 등을 의뢰해 보시기 바랍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들과 함께 보드게임을 할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돈에 대한 개념부터 알려 주어야 합니다.경제라는 게 워낙 복잡하고 어려우므로,처음에는 용돈을 통해서 합리적인 소비, 재화와 서비스, 수요와 공급(판매와 구입), 시장의 형성, 시장가격의 형성 등을 아이의 수준으로 쉽게 풀어서 아이의 말로 설명을 해 주시고, 그 뒤에 설명을 이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책을 좋아하는 아이인데요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책의 내용을 듣는 거랑, 한글이라는 것을 공부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좋아하고 또 선호한다면, 아이에게 그러한 한글 교육을 병행하면서 책을 읽어주셔도 아이에게 좋은 교육, 경험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현재 28개월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그러한 시기가 다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아이마다 애착이나 선호 등을 나타내는 행동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고, 발달 단계에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해가 됩니다. 아이가 원하는 대로 해주면서도, 아이의 관심을 점진적으로 다른 쪽으로 돌려 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태어나면서 애착이불처럼 겉싸개를 좋아하는데요.
안녕하세요. 네, 애착이불로 놔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만, 너무 더럽거나 너무 오염되어 있다면 세탁 등을 통하여 청결을 유지한 채로 사용하도록 해 주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그러한 애착이나 선호는 자연스레 해소될 가능성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점진적으로 관심을 돌리도록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집단 생활에 어느정도 참가하는걸 아이에게 알려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무조건이라는 건 없다고 생각하며, 특히나 과거보다는 어느 정도 이러한 공동체주의적 성격이 옅어지고 있는 추세라서 무조건적으로 참여를 유도하거나, 해야 한다고 말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어느 정도 사회성 향상과 사회적 교류를 위해서는 참여할 필요가 있으니 아이가 관심이 없거나 덜하더라도 참여를 유도해 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에게 분리불안이 있는거 같아요 상담은 어디로 찾아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의료적인 부분에서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과를 갈 수 있고,이러한 의료적인 부분이 아니라 발달, 심리적인 부분의 경우 아동발달센터, 아동발달상담센터 등을 방문할 수 있으나, 보통 회기별로 7~10만 원 정도의 비용으로, 비용 부담이 꽤 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역 근처에 이러한 발달 과정에 대한 상담, 언어치료 등을 하는 기관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장난감 하나가지고 싸우는 남매 이런경우는 두개 사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물론 같은 종류로 두 개를 사는 게 가장 좋기는 하겠습니다만, 만약 고장이 나는 등의 이유로 싸우거나 등의 일이 있을 수도 있어서, 하나의 장난감으로 서로 차례를 기다리기, 양보하기, 함께 놀기 등의 인성 요소를 지도하고,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더 교육적인 효과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학교 돌봄 수업과 늘봄 수업의 차이
안녕하세요. 네, 이제 돌봄도 늘봄 안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돌봄은 선택형 돌봄(늘봄 프로그램)입니다만,늘봄 맞춤형은 하루 2시간까지의 무상 프로그램 제공, 선택형 돌봄은 그 이상 시간까지도 돌봄이 가능하므로 돌봄이 더 유리합니다.늘봄은 프로그램만 제공, 돌봄은 돌봄으로서 더 오랜 시간 아이가 체류 가능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착한 친구, 착한 엄마는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요즘은 착하다는 말이 그렇게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진 않는 듯 해요. 물론 착하다는 것 자체는 인성 요소가 좋다는 말일 수도 있으나, 어떤 의미로는 고지식하다고 판단되거나 착하다는 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해요. 무엇보다도 사람마다 착하다의 기준도 다르므로, 무엇이라고 콕 찝어 말하기도 어렵고요. 일반적으로는 예의가 바르고, 타인을 배려하면 착하다고 말하기는 하지만, 그게 도덕적인 건가? 자신을 다 포기하는 건가? 등 여러 물음이 나올 수밖에 없죠.
3713723733743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