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종대왕이 만든 농사직설은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초기 이전까지 농사라는 것은 귀족들이나 권력층에게 있어서 수탈의 대상이지 이를 발전시키고 안정화 하는 노력은 부족했는데, 그렇기에 이전에는 중국의 책을 바탕으로 농사를 이해하고 가르쳤죠.하지만 우리 세종대왕은 무엇이든 조선의 입장에서 독자적으로 하길 원했고, 이에 따른 것이 농사직설도 있는 것입니다. 해와 달을 관측해서 조선만의 달력과 천체관측도를 만들고, 이러한 것으로 절기를 구분하여 농사를 지을때 언제 파종하고, 모내기를 하고 등을 공부하고 가르치기 위함이었습니다.
Q. 왜 피라미드는 삼각형 모양으로 지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피라미드 뿐만 아니라 대형 석축물로 유명한 문명들은 대부분 상부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뿔형태를 지니게 됩니다. 우리나라 고구려의 장군총, 멕시코 피라미드 등을 보시더라도 비슷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만큼 크고 웅장하게 석조건축물을 쌓아서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형태가 안정적이면서 높은 층수로 지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층층이 무거운 돌을 상층부로 올리기 위해 비스듬한 기울기가 필요한 이유도 있겠습니다.물론, 피라미드 형태에 대해서 여러가지 해석들이 나오고 있는데, 우주의 에너지를 모을 수 있다가.. 가장 대표적인데... 솔직히 건축학적이고, 과학적인 이유에서 피라미드의 형태를 이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Q. 비폭력주의자 인도 간디는 문란한 성관계와 흑인차별 논란이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마하트마 간디는 우리가 흔히 어릴 때부터 읽었던 위인전에서 비폭력주의로 영국에 대항했다는 일화가 가장 유명하며 머릿속에 박혀 있죠. 하지만 이러한 간디의 행적의 이면에는 여성에 대한 편력, 흑인차별, 영국에 대한 동경 등 당시 인도의 지식인이자 정신적인 리더라고 생각되었던 인물이 맞는지 의심이 될 정도로 다른 이면을 갖고 있었습니다.오한이 들고 춥다는 이유로 어린 여성이나 친인척의 부인들 까지도 함께 잠을 자고, 흑인을 혐오하기도 하며, 영국인으로서 살기 위해 많은 일들을 겪었던 군인 간디처럼.. 간디가 과연 우리가 아는 비폭력주의 독립운동가 간디가 맞는지는 다시금 돌아봐야할 것 같습니다.
Q. 여성 분들이 신는 하이힐은 원래 용도가 뭐였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유럽, 파리는 패션의 도시이면서 문화의 도시, 깨끗하다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실재로 여행을 다녀온 분들도 그런 이미지가 강한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예전의, 중세의 유럽이나 파리는 지금과는 다른 곳이었습니다. 정돈되지 않은 길, 오물을 그냥 길에다 내다버리는 사람들, 심지어 길에다 용변을 보기까지 하고, 비가 내려도 배수가 잘 안 되어 똥오줌으로 진창이 된 거리까지.. 많은 것들이 불결한 사회였는데 이때 등장한 것이 하이힐이라고들 하죠. 높은 굽의 신발을 신음으로써 치마 끝자락이 땅에 닿아 더러워지는 것을 막으려 했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