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방구는나가서
방구는나가서22.11.29

과학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을 방법은 없을까요?

과학의 발달로 인공적으로 비도 내리게 하는데,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지구가 너무 뜨거워져서 큰 재앙이 닥칠거라는데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온실가스사용을 줄이고 이미 날아간 온실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식물이나 산호의 개체수를 폭발적으로 늘리거나 테크닉을통해 해결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과학적 해결 아이디어들이 있습니다. 분필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탄산칼슘이 빛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어서 성층권에 뿌려서 지구를 덮으면 태양빛을 반사해서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필리핀에서 커다란 화산이 폭발해서 성층권에 화산재와 황산이 퍼졌는데 이로 인해서 3년간 지구 온도가 내려간 것에 착안했다고 합니다.

    다른 아이디어는 바다에 파이프를 깊게 박아서 차가운 심층수를 해수면으로 끌어 올리면 바다 표면의 온도가 내려가고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그 밖에 해양에 철성분을 살포해서 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우주공간에 태양빛을 막을 수 있는 차양막을 설치하는 아이디어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는 과학적으로 바꿀 순 없습니다. 온난화를 가속시키는 물질을 감축해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전세계적인 단합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 이산화탄소, 메탄 같은 온실가스는 태양으로 들어온 짧은 파장의 복사에너지는 통과시키지만,

    지구로부터 나가는 긴 파장의 복사에너지는 흡수하기 때문에 지표면을 데우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에 대한 반박하는 주장도 실제로 있습니다.

    반박 주장의 경우 실제 인간의 활동이 온실가스의 비중이 작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지구 온난화는 활발한 태양 활동에 의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량과 지구 표면 온도 상승량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가 아직 없습니다.

    따라서 지구와 태양 사이에 발생하는 일이므로 과학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