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영화를 보면 투명망도가 있습니다.
영화를 보면 투명망도가 나옵니다. 이 기술은 실제 존재한다고 합니다. 아직 상용화가 안되었지
실험실적으로는 만들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이 투명망도를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리포터처럼 완전히 사라진것처럼 보이게 하는것은 아직은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 투명하다는 것은 실제로 물체가 사라진 것이 아니고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아래는 2019년 즈음의 과학기술로 만들어진 투명 망토 입니다. - https://www.hani.co.kr/arti/science/future/913493.html - 즉, 빛의 굴절, 산란 등을 잘 조절하면 투명 망토의 뒷 부분을 비치게 할 수 있고, - 망토를 입은 사람은 사라진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진혁 과학전문가입니다. - 투명하다는건 투영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투영이 되는 물질은 정해져 있습니다. 인간이 투명해질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 투명망토의 이론적인 원리는 빛이 반사되지 않으며 굴절되어 진행할 때 물체가 투명해지는 효과를 느껴 뒤에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현상을 응용한 것입니다. 현재까지 100% 완벽한 투명망토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