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동산 구매관련 대출받을 때 원리금균등방식의 저당상수는 어떤 개념인가요?
부동산 구매관련 대출받을 때 원리금균등방식의 저당상수는 어떤 개념인가요?
만약 4억 대출 받았을 때
원리금을 구할 때
대출금(4억) x 저당상수(0.1)
이렇게 자기가 대출받은 금액에 저당상수를 곱하면
원금과 이자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배워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당상수는 원리금균등방식을 사용할때만 사용하기때문에 항상 원리금 이라고 생각해야합니다.
1억을 빌렸는데 저당 상수가 0.1이면 1천만원을 매년 변제해야되는겁니다.
연소득6천만원 저당상수0.1 DTI : 40%
매년 갑아야하는 원리금은 6000xDTI=2400만원이 됩니다.
즉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이 2400입니다.
원금x저당상수=원리금 이므로 대출금은 원리금/저당상수 = 2400/0.1 = 2억4천을 빌릴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당상수란 일정액을 빌렸을 때 매 기간마다 갚아나가야 할 원금과 이자의 합계를 계산할 때 적용하는 지수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론상 원리금 균둥상환액을 구할 떄 원금에 저당상수를 곱해 매기간 원리금을 구하게 됩니다. 다만 저당상수가 0.1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저당상수는 대출기간과 이자율에 따라 구해지며 식으로는 1-(1+연이자율) 기간승 분에 연이자율로 대출기간 10년에 연이자율 5%라면 저당상수는 0.13정도 나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