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방울방울
방울방울
24.03.26

파견직 근무 후, 자사 계약직 제안 거절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 수급이 될까요?

간단 서무업무라고 2년 파견 계약직 근무를 하였습니다.

파견 계약직 시기는 22.08.16 이며, 오는 24.08.16 에 파견 계약 2년 만료인데요,

파견 계약이 만료가 되면 해당 자사에 또 2년동안만 직속 계약직(파견직X, 무기계약X)으로 근무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파견직 계약 당시 안내 받은 업무는 일반 간단한 서무 보조 업무 였으나,

일반 서무 보조 업무가 아닌 자사 ERP를 다루고 억단위 금액을 다루는데다,

업무량이 과도하게 많아 업체 전화에 시달리며 부서원 분들의 각종 수당을 챙겨 드리고 부서 상관의 비서업무까지 하며 6개월차에 장폐색 수술을 하고, 8개월 차 부터우울증/불면증 진단을 받아 약을 복용하는 상태입니다. 현재는 자리를 5분이상 비울 수 조차 없어 방광염 진단까지 받은 상태입니다. 장폐색 수술은 입원조차 하지 못하고 수술하고 다음날 출근하였습니다.

또한, 회사 내에 정규직원 분들에게 지속적인 성희롱/사생활 침해로도 고통 받고 있습니다.
(ex: 프로필 사진 캡쳐, 남자친구 추궁, 주말과 저녁시간 사적인 연락, 신체접촉 등등)

몇번이나 상관에게 말씀 드렸지만, 달라지는 것은 없었습니다.

모든 것이 겹쳐 절때 여기서는 근무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계약직 계약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데요..

Q. 혹시 파견 근무 계약이 끝나고 자사 계약직 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 한가요?

Q. 혹여 자발적 퇴사 처리가 된다면, 제가 위에 겪은 일 들로 퇴사하여 실업급여를 받을 방법은 없을까요? 병원 진단 및 수술기록 , 상관 상담 기록과 카톡 대화는 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