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올곧은키위83
올곧은키위83

눈물의 맛이 사람의 감정에 따라 다른가요?

사람이 슬프거나 기쁠때 눈물을 흘립니다

눈물의 맛이 짜다고 느낄때도 있고

아무 맛이 안날때도 있는데 감정에 따라 다르게 느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물의 주성분은 수분(식염수)로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면역물질(단백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감정에 따라서 흘리는 눈물이 감정에 따른 눈물보다 단백질 농도가 20% 더 진하다고 합니다. 감정에 의해 흘리는 눈물에는 단백질 이외에 다양한 호르몬과 류신 엔케피린, 망간이 더 들어있다고 합니다. 망간은 기분과 관련된 원소로 눈물을 통해 배출되면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분노하여 흘리는 눈물에는 수분의 양이 적고 나트륨 함량이 높아서 짠맛이 난다고 합니다. 슬퍼서 흘리는 눈물은 산성 성분이 높아서 신맛이 나고, 기쁨의 눈물은 포도당이 많이 들어 있어서 단맛이 난다고 합니다.

  • 눈물은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인데, 눈물구멍을 통해 흐른 후 눈물소관에서 배출됩니다.

    눈물에는 단백질과 식염이 함유되어 있고,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로 염화나트륨 성분이 소금과 같은 성분이므로 짠 맛을 내게 됩니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분노에 의한 눈물은 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수분이 많이 증발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더 짠맛이 나게 되고,

    슬픔에 의한 눈물은 상대적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덜 짜다고 합니다.

    그리고 기쁠 때 흐르는 눈물은 포도당이 많이 들어가 단맛이 난다고 합니다.

    즉, 눈물의 맛은 사람의 감정마다 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눈물을 흘리는덴 여러가지 이유가 있고 이러한 이유에 따라

    눈물의 성분이 미묘하게 달라져 맛이 다르다고합니다

    화날때는 짠맛, 슬플때는 신맛이 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눈물은 눈의 눈물샘에서 생성되며 물, 전해질 및 다양한 단백질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눈물의 구체적인 구성은 생산 이유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이 경험하는 감정에 따라 눈물의 맛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슬픔이나 분노와 같은 정서적 고통의 결과로 생성되는 눈물은 더 높은 수준의 전해질로 인해 더 뚜렷한 짠맛을 가질 수 있습니다. 눈 알레르기 또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되는 것과 같이 자극이나 염증의 결과로 생성되는 눈물은 또한 더 뚜렷한 짠맛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감정적 기쁨이나 행복의 결과로 생성되는 눈물은 전해질 수치가 낮기 때문에 짠맛이 덜 뚜렷할 수 있습니다. 바람이나 추위와 같은 물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된 눈물도 덜 뚜렷한 짠맛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눈물의 맛은 생산 이유와 사람이 경험하는 감정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눈물의 특정 구성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식이, 건강 및 약물 사용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