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뛰어난레아44
뛰어난레아44

동짓달 기나긴 밤을과 진달래꽃 비교해주세요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황진이의 동짓달 기나긴밤을 주요 내용과 주제의 공통점 차이점을 중점으로 비교해 주세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이별 상황에 대한 슬픔과 정서를 애절한 여성적 어조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나보기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에서도 알 수 있지만 이별상황을 가정하여 시의 내용을 전개하고 있고 시의 겉의 의미는 이별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뜻은 절대 헤어질 수 없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진달래꽃의 여성화자를 이별에 대해 괴로워하고 수동적인 인물로만 볼 수 없는 것은 '즈려 밟고'라는 표현을 볼 때 더 뚜렷하게 알 수 있습니다. '임'이 자신의 존재를 무시하고 파괴하는 행동을 '즈려'(강하게 짓이기다)로 이야기하고 있어서 헤어진다는 것이 얼마나 자신을 잔인하게 대해야만 가능한 일임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사뿐히 즈려밟고',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등과 같이 역설적인 표현과 반어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임'과의 헤어짐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될 일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진달래꽃의 여성화자는 자신의 마음 속 감정에 충실하고 강한 의지를 가진 존재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황진이의 '동짓달 기나긴 밤을'에서도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화자가 드러납니다. 임에 대한 그리움을 진달래꽃의 표현과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시조의 가장 특징적인 표현은 동지의 긴 밤의 시간을 '버혀내고(베어내고)',

    '너헛다가(넣었다가-보관, 저장)', '펴리라(펼쳐 내겠다)' 라고 눈에 보여서 잘라내고 보관하고 다시 쓸 수 있는 대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임과 헤어져 있는 동지의 긴 밤의 시간을 보내면서 임이 돌아왔을 때 지금의 긴 시간을 다시 이어붙여 임과 함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키길 원하는 마을이 드러났습니다. 추상적인 식간의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풀어내어 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아름답게 표현해 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