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0.17

조선시대 인구는 얼마나 있었나요?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의 이유로 인구가 점점 작아지고 있는 현실인데 그렇다면 조선시대 인구는 얼마나 있었나요 그때는 의학이 발달하지 않아 그렇게 많이 있을 것 같지는 않은듯 한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인구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777년 7,238,523명

    1780년 7,228,076명

    1786년 7,330,965명

    1789년 7,403,606명

    위와 같이 조선시대에는 의학이 발달되지 않고 전쟁과 같은 이유로 그렇게 인구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3년마다 매 가호에서는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 가족과 노비를 기록한 호구단자를 소속 군현의 수령에게 제출, 각 군현에서는 이에 기초해 호적대장을 3부 작성하여 한부는 해당 군현에서 보관, 다른 2부는 감영과 호조로 보냈는데 이로부터 전국의 호구 총수가 집계됩니다.

    이 호구 총수에 의하면 조선왕조의 인구는 건국 이후 15세기의 빠른 증가, 임진왜란이후 감소, 전쟁이후 17세기 급속한 증가, 18세기 정체, 19세기 감소의 추세를 보입니다.

    조선왕조가 파악한 인구는 1393년 30만명, 1519년 374만여명, 1861년 674만여명이며 조선왕조의 호구 총수로부터 추정한 실제 인구수는 조선왕조 건국 초 550만명, 19세기 1800만명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인구는 임진 왜란을 기준으로 차이가 나는데 조선 전기 (1392∼1592)의 인구는 대략 학자에 따라 1200-1300만명 조선 후기에는 800-100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인구는 농업생산 및 조세·부역 때문에 국가에 의해 편호의 형태로 묶여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