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률, 발병률, 유병률 차이 쉽게 설명해주실분.
아무리 네이버 찾아서 읽어봐도 이해가 안되는데 쉽게 예시 들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ㅠㅜㅜㅠㅜ 그냥 구별 가능할 정도의 개념으로만 설명해주셔도 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특정 질병에 대해 발생률, 발병률, 유병률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00명의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1년 동안 새롭게 그 질병에 걸린 사람이 10명이라면, 그 질병의 발생률은 10% (10/100)입니다. 어느 특정 시점(예: 1년의 끝)에 그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20명이라면 (새로 생긴 환자 10명 + 이미 있던 환자 10명), 그 질병의 유병률은 20% (20/100)입니다. 발병률은 발생률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발생률이 특정 기간 동안 새로 발생한 사례의 비율을 나타내는 데에 비해, 발병률은 보다 넓은 의미로 질병 발생의 빈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특정 기간 동안 새로 발생한 환자의 비율을 명확히 나타내고자 할 때는 발생률을, 질병 발생 빈도를 보다 포괄적으로 나타내고자 할 때는 발병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발생률은 새로운 환자 수에, 유병률은 특정 시점의 환자 수에 초점을 맞춥니다.
발생률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질병이나 사건의 수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즉, 새로운 사건의 발생을 측정하는 것으로 질병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질병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10만 명 중 100명이 새롭게 암에 걸렸다면,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00명이 됩니다.
발병률은 특정 집단에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노출에 의해 발생한 질병의 발생 비율입니다.
즉, 특정 노출과 질병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유행병학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식중독 발생 시, 특정 음식을 먹은 사람들 중에서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발병률이라고 합니다.
유병률은 정 시점 또는 기간 동안 특정 집단에서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비율입니다.
즉, 특정 시점의 질병 부담을 나타내며 질병의 만연 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발생률과 달리 새로운 사건뿐만 아니라 과거에 발생한 사건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12월 31일 기준, 대한민국 인구 10만 명당 당뇨병 환자 수를 유병률이라고 합니다.
발생률은 일정 기간 동안 새로운 환자가 얼마나 생겼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고, 발병률은 특정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 중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 유병률은 전체 인구 중 특정 시점에 이미 질병이 있는 사람의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새롭게 감기에 걸린 사람이 100명이라면 발생률,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된 200명 중 50명이 걸렸다면 발병률, 전체 인구 1,000명 중 감기에 걸려 있는 사람이 300명이라면 유병률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질병이 얼마나 흔한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용어들로 이해됩니다. 이런 용어들 설명은 예시를 통해 쉽게 설명드리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것 같아서 몇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발생률(Incidence rate)은 특정 기간 동안에 새롭게 질병에 걸리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2024년 한 해 동안에 서울의 10000명 중 100명이 새롭게 독감에 걸렸다면, 이 마을의 독감 발생률은 1년 동안 1%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발병률(Attack rate)은 특정 질병의 발병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짧은 시간 동안 특정 인구 집단에서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말합니다. 학교에서 식중독이 발생한 후, 300명의 학생 중 50명이 식중독 증상을 보였다면, 이 학교의 식중독 발병률은 약 16.67% 입니다.
유병률(Prevalence rate)는 특정 시점에서 질병에 걸려 있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2023년 12월 31일 어떤 마을에 살고 있는 1000명 중 20명이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이 마을의 만성 질환 유병률은 2%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