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서울고무신
서울고무신23.07.26

건전지 새로 구입후 사용안해도 저절로 방전돼요?

마트나 편의점에서 건전지를 구입하는데

대개 밀봉포장 되어있잖아요..

궁금한게 포장을 뜯으면

공기와 접촉하게 되니

사용하지 않고 그냥 놔두면 공기와 접촉해서

자동으로 방전되나요?

그렇다면 다시 비닐같은걸로 밀봉하면

공기와 차단되니

방전되지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전지는 전해액이 있어 이온화 과정의 전자를 이용하는 것을 건전지라 부릅니다.(출처:나무위키-건전지) 그런데 이런 건전지는 회로에 연결돼 있지 않아도 내부에 화학 물질이 조금씩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사용 하지 않을 때도 계속 전류를 만들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건전지를 자세히 보면 제조 일자가 나오는것입니다. 이런 건전지의 방전을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 내부의 화학 반응을 느리게 하는 방법 밖에 없어서 냉장고등 차가운 곳에 저장을 하면 오래 방전을 줄여서 좀더 오랜기간 사용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도 자체적으로 자가방전이 되기때문에 될수 있으면 구입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알카라인 건전지의 경우 1년에 2~25%정도 방전이 됩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3~4년이면 못쓰게 되죠.

    건전지도 자세히 보면 제조일자가 적혀 있습니다 .따라서 오래된 건전지는 구입하지 마세요. 반드시 제조일자를 확인하세요. 그리고 보관할때는 습기가 들어가지 않토록 비닐팩에 공기를 빼고 보관하고, 최대한 서늘하고 건조한곳에 보관하세요. 건전지는 화학반응을 이용한 제품이므로 최대한 추운곳에 보관해야 방전이 적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전지가 가지고있는 전기에너지는 공기와 건전지를 감싸는 종이와 플라스틱등으로 방전되기에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건전지는 포장을 뜯으면 공기와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건전지의 전압이 감소하여 방전됩니다. 건전지를 방전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공기 중의 산소입니다 산소는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여 전기 흐름을 생성합니다. 이로 인해 건전지의 전압이 감소하여 방전됩니다 건전지를 다시 비닐로 밀봉하면 공기와 차단되기 때문에 방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건전지를 장기간 보관하면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방전되기 때문에 사용 전에 항상 전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네, 건전지가 밀봉포장을 뜯고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방전될 수 있습니다. 건전지는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데, 이 반응은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건전지가 공기와 접촉하면 반응이 시작되어 전력이 점차적으로 소멸되게 됩니다.

    밀봉포장이 열리게 되면 건전지의 전기를 발생시키는 화학 물질들이 공기와 상호작용하여 전력이 소모되는 현상인 자기방전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고 놔두면, 비록 사용하는 것보다는 속도가 느리지만, 전기를 점차적으로 소모하게 됩니다.

    비닐이나 다른 밀폐용품으로 다시 밀봉하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자기방전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전지의 화학 반응은 결국 발생하게 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전력이 소진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건전지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여분으로 보유할 때는 가급적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건전지는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방전되기 때문에, 오랜 기간동안 보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