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세련된개미새108
세련된개미새10823.05.28

구름의 모양은 제각각 다른데 어떤 이유에 의해서 달라지는건가요?

구름의 모양은 제각각 다른데 어떤 이유에 의해서 달라지는건가요?

빨래판모양, 뭉개구름등 구름의 모양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은 구름이 형성되는 과정과 대기 상황에 따라서 제각각 다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물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가 형성되어 구름이 된다고 합니다. 먼저, 구름의 모양은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 고도, 바람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습도와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물방울이 커져서 비를 내리거나, 먼지와 같은 입자들과 결합하여 먼지 구름이 형성됩니다. 반면,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영하 온도로 인해 물방울 대신 얼음 결정체가 형성되어 얼음 구름이 됩니다. 또한,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구름의 모양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에서는 구름이 늘어져서 고적 구름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이 강하고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길쭉한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름의 모양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에 따라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으로 분류한다.
    → 모양이 다른 이유: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

    새털구름, 뭉게구름, 양떼구름, 비늘구름, 비구름 등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구름이 있습니다.

    이처럼 구름의 모양이 제각각인 것은 구름이 발생하는 장소의 기압, 온도, 수분량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구름의 모양은 구름이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 주변 공기의 밀도, 바람이 세기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습도, 기압, 바람의 세기는 항상 변하고 있으니까 구름의 모양도 항상 변하고 있습니다.

    구름을 바라보는 우리의 마음에 따라서 토끼로 보이던 구름이 갑자기 괴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구름의 형성과 소멸은 기본적으로 공기의 수직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저기압, 높은 산, 강한 햇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게 되는데

    높이 상승할수록 주변 기압이 낮아져 열교환 작용 없이 부피가 팽창하는 단열팽창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단열팽창에 의해 공기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는 점점 낮아집니다.

    그리고 일정 고도에 이르면 이슬점에 도달, 수증기가 응결하고 작은 물방울들이 모인 구름이 되는 것.

    또한 수증기를 다량 함유한 고온의 공기가 차가운 공기의 위로 올라가거나

    차가운 공기가 더운 공기 아래로 들어가도 구름이 생깁니다.

    즉 어떤 조건하에서 형성된 구름인가에 따라 모양도 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생기는 이유는 2개의 각각 다른 온도/습도를 갖춘 기류가 만났을때 생깁니다.

    이때의 그 온도/습도 차이가 얼마나 나냐에 따라 적운형 층운형 등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