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종합소득세 기한 내 신고 안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마침 종합소득세 신고 달이 다가오네요.
5월 1일부터 5월 말일까지 신고기간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득이 있는 분들은 다 소득신고를 해야 한다고 아는데요.
바빠서 미처 신고를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들을 종종 봅니다.
이런 경우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영혁 세무사입니다.
우선 당초 납부하셨어야 할 종합소득세액은 물론이거니와, 그 세액의 20%만큼 무신고가산세가 추가될 것이고, 당초 납부기한인 5월 31일부터 실제 납부하게되는 날까지의 일수에 비례하여 납부불성실가산세도 추가로 부과되실 것입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종합소득세를 과소신고했을 경우, 과소신고가산세(미납세액 x 10%)와 납부지연가산세(미납세액 x 미납일수 x 0.025%)가 부과됩니다.
만약 신고를 전혀 하지 않았다면 했다면 과소신고가산세가 아닌 무신고가산세(미납세액 x 20%)와 납부지연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정기신고기한 내에 신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0%의 무신고가산세와 연 9% 가량의 납부지연가산세가 부과되므로 제때 신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세무사입니다.
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종 세액공제 및 감면을 받을 수 없으며 무거운 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그리고 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국세청 NTIS전산망에서 소득합산표 자료가 생성되어 종합소득세 해명자료 제출 안내문을 받게 됩니다.
휴대폰으로 QR을 찍으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