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조선시대의 스님도 관직이 있는 시기가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얼마전 조선시대도 스님도 관직이 있다가 부활했다가 이런 시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스님들의 관직이 어느시기에 생겨서 또다시 부활하게 된건지 알고 싶고 이렇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 스님들의 관직은 고려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것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국교로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스님들은 국가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스님들은 국왕의 자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으며, 백성들의 교육과 복지를 담당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이성계가 불교를 탄압하면서, 스님들의 관직이 대부분 폐지되었습니다. 그러나, 세종대왕은 불교를 다시 장려하면서, 스님들의 관직을 일부 부활시켰습니다. 세종대왕은 스님들의 학문과 지혜를 국가 발전에 활용하고자 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의 스님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습니다. 스님들은 과학, 의학,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또한, 스님들은 백성들의 교육과 복지에 앞장서서, 조선 사회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유교가 국교로 자리 잡으면서, 스님들의 사회적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었습니다. 또한, 정조 이후에는 스님들의 관직이 다시 폐지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스님들의 관직이 부활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 불교는 조선 초기까지 국교로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스님들은 국가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았습니다.

    • 세종대왕은 불교를 다시 장려하면서, 스님들의 학문과 지혜를 국가 발전에 활용하고자 했습니다.

    • 조선시대 스님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백성들의 교육과 복지에 앞장섰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유교가 국교로 자리 잡으면서, 스님들의 사회적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었고, 결국 스님들의 관직이 다시 폐지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숭유 억불 정책을 취하기에 사실 승려가 되는 길은 굉장히 어려 웠습니다. 승려가 되기 위해서는 양반의 신분에 그것도 국가에 신고를 하고 도첩을 발급 받아 승려가 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에서도 전기에 승을 이야기할 때, 도승을 하고 그다음에 나중에 승과를 보고 승관(僧官), 일종의 승려로서 관직을 받고 이런 것들은 그들이 설치한 일종의 신분 필터를 통과하는 것이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