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는 누가만들었고 어떻게 강우량을 파악했나요?
근래 강우량을 파악하는 기반이된 측우기는 어느시대에 누가 발명을 하였고 또 그 측우기로 강우량을 어떻게 파악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 시절에 장영실이라는 학자가 측우기를 발명을 하여서
비오는것을 측정하였습니다.
측우기를 비올때 밖에 놓고 나중에 자로 재어서 측정을 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측우기는 조선 세종 때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기구로 당시 세자였던 문종이 설계하고 장영실이 제작한 발명품 입니다.
일정기간 동한 측우기 속에 고인 빗물의깊이를 측정함으로써 강수량을 알 수 있었다고 하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로 본관은 아산(牙山)이다. 기생의 아들로 동래현의 노비 출신이었지만 농기구, 무기등을 고치고 만드는 솜씨가 뛰어나 세종대왕의 명으로 중국에서 공부하였다. 1423년(세종 5년)에 왕의 특명으로 상의원 별좌라는 벼슬을 가지게 되면서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 궁중 기술자로 활동하였다. 그 후 행사직이 되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李狀)을 도와 간의대(簡儀臺)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天文儀) 제작을 감독하였다. 1433년 호군에 오르고 혼천의(渾天儀) 제작에 착수하여 1년 만에 완성하고 이듬해 동활자(銅活字)인 경자자(庚子字)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자 갑인자(甲寅字)의 주조를 지휘감독하였으며, 1450년에 우리 나라 최초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고, 1437년에는 소간의와 대간의를 비롯하여 해시계인 현주일귀, 앙부일귀, 정남일귀 등을 만들었다.
1437년부터 6년 동안 천체관측용 대 ·소간의(大小簡儀),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懸珠日晷)와 천평(天平)일구, 고정된 정남(定南)일구, 앙부(仰釜)일구, 주야(晝夜) 겸용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圭表), 자격루의 일종인 흠경각(欽敬閣)의 옥루(玉漏)를 제작 완성하고 경상도 채방별감이 되어 구리·철의 채광 ·제련을 감독하였다. 14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발명하여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 수 있게 했다.
측우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그냥 측우기의 통 안에 들어간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재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