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거 들다가 허리를 다쳐서 디스크 진단을 받았어요. 상해, 질병중 어떤걸로 청구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3주전쯤 책장정리를 하면서 책을 몇백권 옮기다가 허리를 삐끗했는데
처음엔 물리치료만 받다가 점점 통증이 악화되어 MRI를 찍으니
디스크가 돌출되었었더라구요 ㅠㅠ
보험 청구를 하려고 진단서를 떼니 상해 염좌코드와, 질병 디스크 코드 2개가
있더라구요
제가 1세대인가 2세대 실비인데,
청구할때 상해로 하는게 나을까요? 질병으로 하는게 나을까요?
잘 몰라서 전문가분들께 여쭤봅니다^^
참고로 제 실비증권을 찍어서 올려드려요^^
예전에 찍어놓은건데 갱신되었어도 계약사항은 그대로일거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예전실비는 상해의 보장기간이 짧을 수 있습니다 한사고당 180일 보장이나 1년 보장으로 이후 보장이 안될 수 있으며 질병은 1년보장후 면책기간후 또 다시 보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치료가 그다지 오래 지속되지 않을경우는 상해로 해도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형철 보험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사고라면 상해가 맞습니다.
사고 원인이 중요합니다. 책을 들다가 삐끗한거라 질병으로 보기는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급격하고 우연한 외래의 원인으로 허리를 다치신것이니 상해로 청구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가입 실비도 일반상해의료비 특약으로써 보장이 더 좋아보이구요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디스크 질환이라면 보험사에서 질병으로 진행처리됩니다.
디스크 질환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질병실손의료비에서 지급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책을 옮기다가 허리를 삐긋한 것은 외부 요인에 의한 급작스러운 사고로 상해로 청구할 수 있기는 합니다. 다만 시간이 지난 상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외부의 충격으로만 보기에는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디스크 돌출은 평상시에 잘못된 습관으로 인한 퇴행성 질환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질병 코드가 함께 붙기도 합니다. 진단서에 상해 염좌 코드와 질병 디스크 코드가 모두 기재되어 있다면 질병 코드로 청구하시면 되겠습니다. 상해는 기존의 질병이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다만 질병 없이 오로지 상해로 볼만한 우연, 외래, 급격의 3요소를 가지는 것이라면 해당 부위에 대해서는 상해코드로 하시면 됩니다.
사고경위는 상해이나 진단명과 코드가 질병으로 처리된 듯 합니다.
상해보다는 질병으로 처리가 될 것으로 보이나 원칙은 사고기여도와 기왕증기여도를 나누어 처리를 합니다. (후유장해 발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