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내추럴한뿔영양271
내추럴한뿔영양27122.12.04

가을 ,겨울하늘은 여름보다 구름이 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구름도 이쁘고 하늘이 깨끗해서 너무 이쁘네요

왜 겨울 하늘은 여름하늘보다 하늘이 맑고 높을까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5

    여름에는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상하여 한반도의 하늘을 덮고 있어 태양빛이 대기의 수분에 의해 굴절되어 탁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가을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에 수분이 없어 빛의 굴절이 수분이 있을때 보다 적게 나타납니다.

    이런 이유로 대기에서 산란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이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높고 더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과 겨울은 고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고기압의 특징은 날씨가 맑고 구름이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철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많이받기때문에, 맑은 고기압에의해 공기중의 먼지와 수증기가 많이 제거되므로, 구름과 먼지가 제거된 푸른 하늘을 만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하늘의 높낮이는 햇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을이나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대기 중의 먼지가 다른 계절보다 적습니다.

    따라서 더 높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이 되고, 하늘을 보면 더 높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과 겨울철 공기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가 높고 건조해집니다. 공기중의 물 분자는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빛을 미산란 시켜서 뿌옇게 보이도록 하는데 가을, 겨울철에는 공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하늘이 더 청명하게 보입니다. 가을 및 겨울철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게 하는 레일리 산란이 고도가 높은 곳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하늘이 더 높고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미세한 물방울의 결정체입니다. 따라서 습기가 필요합니다. 상대적으로 수증기가 적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에 따른 고기압 차이 때문입니다.

    여름철에는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가 여름철날씨에 저기압이 되기때문에 상승기류가 존재하면서 수증기와 미세먼지등이 모이게 됩니다. 그래서 구름이 많이 생성되고 비도 많이 오는것입다.

    하지만 가을겨울철엔 우리나라가고기압이형성되어서 하강기류가 존재하다보니

    수증기와 미세먼지가 흩어지게 되는것입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