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지식의물결
지식의물결24.03.05

생수와 수돗물의 성분차이가 어떻게 될까요?

수돗물의 경우 소독성분이 들어있다고 들었는데, 생수는 여기서 안 좋은 물질들을 걸러내서 만들어진 건가요? 각각 화학성분이 어떻고 우리몸과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돗물은 수도사업자가 수원지에서 취수한 물을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배관을 통해 우리 집까지 공급하는 물입니다. 이때 소독제인 염소나 클로린 등이 첨가되어 미생물을 제거하고 우리가 마시는 물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수돗물에는 소독제와 함께 미량의 염소 철 알루미늄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면 생수는 지하수나 산악수를 취수하여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미생물과 불순물을 제거한 후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상태로 우리에게 공급됩니다. 따라서 생수는 수돗물에 비해 천연적으로 더 맑고 깨끗한 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성분 측면에서는 수돗물에는 소독제와 함께 미량의 염소 철 알루미늄 등이 함유되어 있지만 생수는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네랄은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은 우리 몸의 대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과의 반응 측면에서는 수돗물에 함유된 소독제나 미량의 물질들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지만 생수는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생수는 천연적으로 더 맑고 깨끗하기 때문에 맛도 더 좋고 물의 품질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수와 수돗물의 성분 차이는 소독제와 미네랄의 차이로 볼 수 있으며 생수는 천연적으로 더 맑고 깨끗하며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돗물도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돗물은 염소로 각종 세균을 없애지만, 생수에는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염소성분이 없어 수질 안전성 확보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개봉한 후에 바로 마시지 않으면 세균 등 미생물이 번식하기 시작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