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더없이고급스러운민들레
더없이고급스러운민들레

태아의 핵이 아떻게 n에서 2n이 되는건가요?

태아의 핵이 아떻게 n에서 2n이 되는건가요?

난자와 정자가 수정해 감수1분열 결과 핵상이 2n에서 n이 됩니다. 계속해서 감수2분열에서 딸세포를 만들며 분열을 해 결국 태아가 만들어지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때도 핵상이 n인데 이 태아의 핵상은 2n 입니다. 핵상이 n 인 세포가 2n인 태아가 되는 것이 이해가 안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수정하기 전 정자와 난자는 모두 감수분열을 거쳐 핵상(n)을 가지게 됩니다. 즉, 이들은 각각 염색체가 반수체 상태인 생식세포인데요, 그런데 태아를 형성하는 세포는 체세포이며, 핵상은 2n입니다. 이때 어떻게 n에서 2n이 되는가 하는 점은 수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핵의 결합으로 설명됩니다.

    감수분열 시에 모체의 생식세포 전구세포(2n)가 감수분열을 통해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며 결과적으로 정자(n)와 난자(n)가 만들어집니다. 이 상태의 세포는 핵상이 n으로, 염색체 한 벌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수정란 형성은 정자의 핵(n)과 난자의 핵(n)이 결합하는 과정인데요 두 개의 반수체 핵이 결합하면, 다시 2n, 즉 배수체가 됩니다. 이때 형성된 세포를 접합자라고 부르며, 이것이 바로 태아의 최초 세포입니다. 수정란(2n)은 이후 유사분열을 반복하면서 세포 수를 늘리는데요, 이 과정에서는 염색체 수가 유지되므로, 모든 딸세포 역시 핵상 2n을 유지합니다. 이렇게 분열과 분화를 거쳐 태아가 형성됩니다. 감사합니다.

  • 난자와 정자는 각각 n인 핵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세포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면 핵융합을 통해 2n인 수정란이 됩니다. 이 수정란은 유사 분열을 거치며 세포 수를 늘려 태아를 형성하게 되며, 유사 분열은 핵상을 2n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분열 방식입니다. 따라서 n인 난자와 n인 정자가 만나 2n이 된 수정란이 유사 분열을 반복하며 2n인 핵상을 가진 태아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 아마 어제 비슷한 질문을 주셔서 답을 드렸던 것 같은데, 수정과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이해하신 것처럼, 생식세포인 난자와 정자는 체세포(2n)에서 감수 분열을 통해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어 반수체(n) 핵상을 갖게 됩니다. 이는 세대를 거치면서 염색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입니다.

    그리고 반수체(n)인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을 하게 되면, 정자의 핵(n)과 난자의 핵(n)이 합쳐져 하나의 핵을 가진 세포를 만듭니다. 이 세포가 바로 수정란이며, 이때 두 핵이 융합하면서 핵상은 다시 복수체(2n)로 회복되는 것입니다.

    이후 2n 핵상을 갖게 된 수정란은 난할이라는 특별한 형태의 체세포 분열을 반복하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n 핵상의 난자와 n 핵상의 정자가 만나 핵이 융합하는 수정 과정을 통해 태아 수정란의 핵상(2n)이 결정되며, 이후 태아 발생 과정은 2n 핵상을 유지하는 체세포 분열의 연속인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정자와난자가 수정시 결합하면서 두개의 반수체핵이 융합해서 하나의 배아핵을 형성하게됩니다.

    즉, 감수분열로 줄어들은 염색체수가 수정순간에 복원이되며 이후 체세포분열을통해 모든 태아의세포가 2배수로 유지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