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로 인한 신경 손상 후 또 마취를 받아도 될까요
제가 크랙 때문에 왼쪽 아래 두번째 어금니를 일단 신경치료없이 크라운만 했었습니다.
시술을 받은지 세 달 정도 되었는데, 아직까지 시술 받은 치아쪽 겉에 턱부분 살의 감각이 둔합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마취하는 과정에서 주사침이 하치조신경을 건드리면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고, 관련 판례도 있더라구요.
근데 그 크라운 치료한 치아를 다시 뜯고 신경치료를 해야될 상황에 이르렀는데, 이 상태에서 또 마취를 받았다가 하치조신경이 아예 손상돼서 턱쪽 감각이 아예 사라질까봐 두렵습니다.
다니던 치과 의사선생님께 물어보니, 말도 안되는 소리말라는 반응과 함께 말을 얼버무리시며 그냥 신경치료 받으면 된다고만 하셨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이 상태에서 신경치료 받아도 괜찮다.
하치조신경이 회복 된 후에 신경치료를 받아야한다.
둘 중에 뭐가 맞는지 여러 의사선생님의 의견을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마취로 인한 신경 손상은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회복됩니다. 잇몸치료는 마취를 깊게 하는게 아니라 받으셔도 크게 문제가 되진 않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지금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제대로 알아야 답변이 가능할 것 같으며 신경치료를 하치조신경때문에 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현 증상에 대해 하치조신경 마비증상이 마취주사 부작용으로 인한 것인지부터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직접적으로 하치조신경을 건드렸다면 환자가 마취당시 움찔하면서 대부분 즉각 알아차립니다
다만 인과관계가 맞더라도 또 하치조신경쪽을 건드릴 확률은 낮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마취를 하는동안 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감각이 둔하다면 마취로 인한 원인보다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강외과나 구강내과에서 감각저하의 원인을 찾아보는것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