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과 수어통역사 차이
Ksl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과 수어통역사
둘중 어느쪽이 더 취득하기 쉬운가요?
취업전망이 좋은쪽은 어느곳인지 궁금해요
둘다 일년에 한번 시험보는거라 기회도 많지않아서요
지금은 수어만 열심히 연습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이 좀 더 쉽지만 수어만 열심히 연습한다기 보다 수어를 활용을 꾸준히 많이 해야 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수어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의 소통 도움을 주는 자원봉사가 있겠습니다.
수어교육능력평가는 강사자격이라면 수어 통역 능력평가는 통역사 자격을 위한 것입니다. 둘의 주관은 수어교육능력은 한국수어능력평가원이고 수어통역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입니다. 수어교육능력은 급수가 1급에서 3급까지 있으며 수어통역사는 단일 시험입니다. 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비교적 쉬운편이라면 수어통역사는 실기 이론 모두 고난이도입니다. 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과 수어통역사 자격시험 모두 연 1회 시험을 보고요. 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수어강사, 평생교육원, 복지관 등에 취업할 수 있고요. 수어통역사 자격시험은 공공기관, 병원, 법원, 방송 등에 취업이 가능합니다. 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실습요구가 낮다면 수어통역사 자격시험은 실습요구가 높은 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현업 수어통역사입니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지만 2가지 시험 모두 수어로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교육능력검정시험은 필기와 실기를 하루에 모두 치르는 형태인데 실기 비중이 높지는
않습니다.
수어통역사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나누어 시험을 보는데 실기시험 합격률이 매우
낮은 편으로 난이도면에서는 훨씬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취업하는곳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업에서 종사할때 교육능력검정시험은 현재 시점으로는
없어도 무방하며, 수어통역사 자격증은 대부분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가장 많은 취업처인 지역 센터나, 복지관등은 대부분 수어통역사 자격증을 필수로 하고 있지만
교육능력검정자격증은 없어도 됩니다.
또한 수어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곳에서도 기본적으로 수어통역사 자격증을 필요로 하고,
교원자격증을 우대하는 정도로 교육능력검정 자격증을 별도로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단순히, 취업을 목적으로 두고 계신다면
수화통역사 시험을 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보고자 한다면 수화통역사 시험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화통역사는 국가공인자격이 이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