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중소기업 수출 진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은 뭐가 있나요?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수출바우처, 전시회참가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중인 걸로 아는데, 수출 진행 제도는 뭐가 있고 유의점은 또 뭐가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중소기업 수출지원은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글로벌 강소기업 1000+(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수출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수출선도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수출성장단계별 유망, 성장, 강소, 강소+로 구분되어 선정합니다

    2.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해외진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대기업의 네트워크 및 인프라를 활용한 공동 마케팅 및 해외판로 개척지원

    3. 수출컨소시엄(중소기업중앙회)
      동일/유사/이업종 중소기업들로 컨소시엄을 구성, 현지 마케팅 전문기업 및 해외 민간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출구조 고도화 계획을 수립하고 공동으로 사전준비, 단체 전시회 참가 또는 수출상담회 개최 등의 현지활동, 사후관리 등 단계별 공동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지원하는 사업

    4. 수출바우처(산업통산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각 정부부처 수출지원 사업간 간막이를 제거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자사의 수출역량에 맞는 수출지원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바우처 형태로 운영하는 사업

    5. 온라인수출패키지(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쇼핑몰 입점, 마케팅, 물류, 컨설팅 등 온라인 수출에 필요한 사항들을 패키지로 일괄 지원하여 온라인 수출 전문기업으로 집중, 육성

    6.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중소벤처기업부,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센터)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수출확대 기여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수출바우처,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인증획득 지원, 온라인 수출 플랫폼 제공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각 사업별로 지원대상, 자부담 비율, 사후 정산 방식이 달라 신청 전 공고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사용 내역에 대해 정산이 까다롭기 때문에 증빙자료를 철저히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수출시에는 수출통관절차가 필요합니다. 보통 관세사를 통해 수출신고대행을 의뢰하는 경우가 많고, 물품에 대한 수출신고에 대한 지원사업이 딱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수출바우처 사업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exportvoucher.com/portal/sample/main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