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열심히도전하는벨로시랩터
열심히도전하는벨로시랩터

미국인들은 우리보다 개인주의가 강한 문화가 된 배경이 있나요?

미국 사회에서는 우리보다는 개인을 중요시 하는 문화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것들이 이름을 사용하는거라든지 축제를 즐기는 방식이라든지 다양한 생활속에서도 그러한 문화를 느낄수 있는데 왜 개인주의의 문화가 자리를 잡게 되었는지 관련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그러한 차이는 길고긴 역사속의 매우 많은 요소가 쌓여서 정해진 만큼

    쉽게 정리하긴 어렵습니다

    그 넒은 땅의 다양한 나라들이 전부 다 비슷할 리는 없겠죠?

    또한 같은 서구권에서도 남유럽, 동유럽, 중남미는 공동체주의 성향이 더 짙은 반면,

    북미, 호주, 뉴질랜드, 서유럽, 북유럽은 개인주의 지수가 가장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정리해보자면

    물이 맑아 쌀농사가 편한 동양에선 집약적 농업이 발달한 반면

    석회수가 많던 유럽지역은 개별적인 밀농사가 발달하게 됩니다

    밀은 다른 곡물에 비해 기타 영양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업이 발달하게 되고

    이것은 자본주의의 성장, 이어서 개인주의의 발달로 이어지게 됩니다

    또한, 동양은 중앙집권이 빨리 이루어졌지만

    서양은 봉건제가 지속 되는 것은 물론 성직자와 귀족의 싸움까지 있었기 때문이란 점도 있고

    세계 2차대전 이후 파시즘 세력의 몰락과

    냉전시대의 공산세력과의 적대관계 등도 현재의 개인주의문화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밖에도 많은 역사적 사건들이 있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미국 뿐 아니라 개인 주의는 동서양의 문화 차이를 나누는 중요한 관점 중의 하나 입니다. 서양의 개인주의와 동양의 집단주의는 농사문화에서 시작됐다고 보는 경향도 있습니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는 쌀농사는 많은 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공동체적으로 대처 하고 사고하는 문화가 동양에서 발달 하는 반면 서양의 밀 농사는 상대적으로 그 반대인 경우라고 하는 관점 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우리 나라와 같은 동양적인 문화에서도 1인 가정의 증가에 따른 전통적 가정 시스템의 붕괴 등으로 인해 개인 주의가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미국인들이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이유는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먼저 미국은 초기 정착민들이 광활한 대륙을 개척하며 생존해야 했던 경험에서 개인의 자립성과 독립성을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또한 다양한 민족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이 모인 사회에서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미국 헌법과 독립선언서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우선으로 보호하며 이러한 정치적 이념이 미국인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경제적으로도 자본주의 체제 아래에서 개인의 성취와 경쟁이 중요하게 여겨지며 이는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어졌습니다. 교육기관과 가정에서도 어린 시절부터 독립심과 자율성을 강조하며, 개인의 선택과 책임을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줍니다. 문화적으로는 자아실현과 개인의 꿈을 추구하는 것을 중시하는 아메리칸 드림 정신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초기 정착민들의 종교적 배경이었던 프로테스탄트 윤리도 개인의 책임과 독립적 구원을 강조하며 이러한 문화형성에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