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외교와 관련된 수학 이론!
수학 관련 포트폴리오 수행평가가 있는데
제 진로가 의료쪽 외교? (예를 들면 WHO나 보건복지부 장관..) 세상에 의료문제들을 여러 관점으로 바라보고 해결하는? 일을 하고 싶어요.
그래서 무얼 할까 찾다가 최적화 이론이라는걸 알게됐어요! "특정의 집합 위에서 정의된 실수값, 함수, 정수에 대해 그 값이 최대나 최소가 되는 상태를 해석하는 문제" 라고 나와있는데 이 이론을 의료 불평등이나 외교적 문제를 해결한다는 내용에 쓰는게 맞는걸까요??
(어떤 선택을 해야 가장 불평등이 적어질수 있을지/최대한 저소득층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최적화 이론은 이런때 쓰는게 아닐까유..?
아니라믄 세계의 의료뿐만 아니라 많은 불평등, 저소득층의 문제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적용시킬수 있는 수학적 이론이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최적화 이론은 매우 적합한 수학적 도구가 맞습니다.
의료 불평등 완화와 외교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소득층 지원과 형평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관련 수학 이론으로는 게임 이론, 통계 분석 , QALY모델들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영상의료의학과 등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될 경우 수학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이 적용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최적화 이론은 의료 불평등이나 외교적 문제 해결에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수있습니다. 특정자원(예:의료 서비스,예산 등)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할때, 최적화 이론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수있습니다. 예를들어 저소득층에게 최대한의 의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자원을 최적화하는 문제를 다룰수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수학적 이론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활용될수있습니다.
게임 이론 : 여러 주체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협력적 해결책을 찾을수있습니다. 예를들어 국가간의 보건 정책 협상에서 각국의 전략을 분석할수있습니다.
통계학 : 의료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평등 문제를 파악하고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될수있습니다.
망 이론 : 보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자원의 흐름과 접근성을 최적화할수있습니다.
결정이론 : 다양한 대안 중에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수있습니다.
이렇한 이론들을 활용하여 의료와 외교 분야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해결할수있습니다. 최적화 이론은 특히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관련된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