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말끔한관박쥐166
말끔한관박쥐166
23.02.18

금성은 자전주기가 아주 길어서 태양을 몇 달씩 본다는데 왜 낮인 면과 밤인 면의 온도가 비슷한가요?

지구의 밤낮은 온도차가 크잖아요. 태양을 바라볼 때와 아닐 때의 온도차인데 금성같은경우 자전주기가 엄청 길어서 태양을 몇달씩 못보는 면이 존재하는데 낮인 곳과 밤인 곳의 온도차가 거의 없다고 하더라구요. 왜 이렇게 차이가 없는건가요? 이정도로 안정적이면 금성이 개발만 잘 하면 가깝기도 하고 지구 이주계획에는 더 좋은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부유한개84
    부유한개84
    23.02.18

    안녕하세요.

    금성의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는 이유는 금성의 대기가 이 온도 차이를 막기 때문입니다.

    금성의 대기는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물질은 열을 잘 흡수하고 보존합니다. 따라서 금성의 표면에서는 태양에서 오는 열이 대기로 흡수되어 지구의 밤과 낮과 같은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금성의 대기는 매우 두꺼워서 태양의 빛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대기 상부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지표면은 거의 항상 어두우며 일광이 도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성의 환경은 지구와 다르게 극도로 적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성의 대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구 대기의 수천배 이상으로 높고, 그 결과로 행성의 표면은 치명적으로 뜨거워집니다. 또한 금성의 대기압은 지구 대기압의 90배 이상이기 때문에 인간이 생존하기에는 매우 불리한 환경입니다. 따라서 금성은 현재로서는 지구 이주에 적합한 행성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의 대기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금성의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대기가 잡아먹어서 지표면의 온도 상승을 막게 됩니다. 이러한 온실효과로 인해 금성의 대기는 지구의 대기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에서의 하루는 지구에서 약 243일 동안 지속됩니다. 이렇게 느린 자전 속도로 인해 금성에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온도 변동이 없습니다. 대신, 두꺼운 대기는 열을 행성 전체에 고르게 분배하는 데 도움을 주어 낮과 밤에 걸쳐 비슷한 온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두꺼운 대기와 느린 자전이 합쳐진 금성은 납을 녹일 만큼 뜨거운 온도와 지구보다 90배나 높은 대기압이 존재해서 인간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