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엄청난참고래63
엄청난참고래6323.03.06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우리나라 해양에 문제 없나요?

조만간 일본서 후쿠시마원전 오염수를 방류한다고 합니다. 넓게 보면 우리나라 오른쪽 일본에서도 오른쪽인 태평양쪽이지만 조류를 따라 돌아서 우리나라쪽도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입니다.

    세계의 모든 바다는 해류를 통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 시 우리나라위 바다에는 2년 후 부터 본격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오염된 수는 태평양 해양을 통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전 세계 바다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일본 근해를 제외하고는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의 해양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예측은 예측일뿐 충분히 우려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는 국제적인 이슈로서 다양한 우려와 논란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21년 4월에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근 국가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관계기관인 한국해양환경공단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한국 해역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며, 한국 연안의 수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사능 물질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여전히 불명확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국제사회에서는 일본 정부가 방사능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투명성 있는 정보공개를 통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을 발표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영향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먼저, 일본 정부는 방류 계획에 대한 세부 내용을 아직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방류를 할 것인지, 방류되는 물질의 양과 농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습니다.

    또한, 바다에서는 조류와 해류 등에 의해 수질이 계속해서 움직입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방류된 오염수가 한 지점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바다 전체로 분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방류 계획이 우리나라 수산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관계 부처와 학계는 일본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며, 오염수 방류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 조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 방류 문제는 국제적인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오염수 방류가 우리나라의 해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됩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처리하고 방류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제기구 및 전문가들과 협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따라, 오염수 처리 및 방류 과정에서 국제적인 안전기준과 규제 준수를 위한 검사와 모니터링 등 강화된 대응책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정부도 일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철저한 모니터링과 감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방출되는 오염수는 대기 및 해류 등에 의해 희석되어 북태평양에서 일어나는 오염수 농도가 낮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해역까지 도달할 가능성도 매우 적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국제적인 논의와 협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감시 및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추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 대비하여 대처 방안을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