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서 백야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가끔 북극과 남극의 다큐멘터리를 보면 백야현상이라고 해가 안지는 때가 있더라구요. 근데 대한민국에 살면서 백야현상을 겪은 적이 없는데 왜 남극에서는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백야현상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있는 상태로 태양을 공전할때 발생하며, 고위도에있는 지역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쪽을 바라보는 시기에는 아무리 자전하여도 태양이 보이게됩니다.
그래서 밤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낮처럼환한 현상이 만들어집니다.
감사합니다.
남극에서 백야현상(Polar Day)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과 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합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지구의 축은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기울기로 인해 지구의 어떤 지역은 태양의 직접적인 빛을 받지 못하고, 어떤 지역은 태양의 직접적인 빛을 받게 됩니다.
남극 지역은 지구의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6월 말부터 9월 말까지 극야현상(Polar Night)이 발생합니다. 이때는 남극 지역이 태양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어 태양의 빛이 도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12월 말부터 2월 말까지는 남극 지역이 태양의 빛을 계속 받게 되어 극주야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태양이 지평선 위에 떠있는 동안은 낮시간이 계속되며,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가라앉는 시간 동안은 밤시간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야현상은 지구의 공전과 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남극 지역에서는 12월 말부터 2월 말까지 지속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극지방은 여름이면 태양쪽으로 기울고, 겨울이면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섳계속 낮이 이어지는 백야현상과 계속 밤이 이어지는 극야현상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