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심장질환이란 무엇인가요?
보험 견적서를 받아보니 허혈성 심장질환진단비가 있던데, 보홈설계 말로는 기존 심장질환대비 나은 거라고 추천을 하던데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습니나.
안녕하세요. 한혜진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보험사에서 가입하는 특약이름과 관련하여 심장관련 보장범위는
심혈관 / 심장질환 > 허혈성심장질환 > 급성심근경색
기존에는 급성심근경색증 진단비만 가입되어있는경우가 많았는데,
몇년전부터 허혈성 심장질환을 보장해주는 특약들이 나오게 되었고,최근에는 허혈성보다 넓은 범위를 보장하는 심혈관 또는 심장질환 진단비 특약이 나와서
많은 분들께서 보완 또는 신규가입을 하신 특약입니다.
보장범위가 넓은 만큼 가장 넓은 보장을 준비하시면, 하위 보장에 대해서도 보장이 되므로,
보장준비를 하실때 넓은 보장으로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뇌관련해서는
뇌혈관 > 뇌졸중 > 뇌출혈, 뇌경색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지금시점에서 최적의 설계안으로 제안드리겠습니다.
오픈카톡 "잘만든보험"검색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병에는 굉장히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심장이 아파서 병원에 방문한 사람이 10명이라고 하면 10명 모두가 다른 질병으로 병원에 방문한 것일 수도 있죠.
그렇기 때문에 보험에서는 한국표준질병분류표에 기재된 질병 코드에 따라서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과거의 보험상품의 경우에는 <급성심근경색증>이라고 하는 질병코드 I21, I22, I23코드에 해당하는 질병 진단을 받았을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보다 더 넓은 범위인 허혈심장질환(I20 ~ I25)에 대한 보장이 생겼죠. 과거의 급성심근경색증 보장에 비하면 3개의 질병코드를 더 보장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협심증(I20)이라고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심장질환에 대한 보장이 가능해졌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허혈성 심장질환>만으로는 보장이 안되는 심혈관계 질환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뉴스에 자주 나오는 부정맥(I47 ~ I49)등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죠.
그래서 현재는 허혈성 심장질환보다 더 넓은 범위인 <심혈관질환>이라는 보장에 대해 지원하는 담보가 생겼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이번에 새롭게 보장을 준비하신다면 허혈성심장질환만 준비하시기보다는 더 넓은 보장인 심혈관질환에 대한 보장을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추가적인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제 프로필에 방문하셔서 상담예약을 하시거나 연락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며, 흉통, 호흡 곤란, 심장 마비 또는 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은정 보험전문가입니다.
심장에 대한 보장으로 급성심근경색을 포함하여 보장하고,
이 전 진단인 협심증 까지 보장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 범위가 넓어지는것입니다
근데 그것보다 더 넓은 범위가 있는데 그걸 모르시네요 제대로 관리 받는게 아닌거 같네요
배송기사입니다 공동현관 비밀번호 있으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허혈성 심장 질환 진단비는 심장쪽 진단비 중에 가장 넓은 범위의 진단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허혈성심장질환 진단금은 심근경색 < 특정허혈성질환 < 허혈심장질환 순으로 보장범위가 넓어짐으로 심장질환 진단중 가장 넓은 범위를 보상하는 진단담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성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설계사분의 설명이 매우 아쉽네요
허혈성심장질환은 급성심근경색과 협심증
두가지를 포함한 보장입니다
심장질환대비(?) 무슨말인지 현직인 저도 모르겠네요
모든 보험사의 상품을 취급하는 11년 경력의 설계사입니다
프로필 누르시고 확인되는곳으로 연락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