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유럽 흑사병의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되었나요?

옛날에 유럽 지역을 완전 휩쓸었던 흑사병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유럽에서 어떻게 흑사병이 생겨났고 나중에는 어떻게 해결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14세기 유럽에 확산된 흑사병은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였습니다. 흑사병은 쥐에 기생하는 벼룩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흑사병은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며 몽골 제국이 크림반도의 항구 도시 페오도시아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감염된 시체를 성안으로 투하하면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상인들이 병에 감염된 쥐와 함께 유럽으로 병을 옮겨 유럽으로 확산시켰습니다. 흑사병은 당시 위생이 좋지 않은 도시 사람들의 급속하게 전염시켰습니다.

    흑사병의 확산으로 유럽 인구의 1/3를 감소시켰습니다. 이후 감염자 격리 조치와 외부인 출입 차단, 위생 관념이 점차 개선되면서 자연적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완전한 해결은 현대 의학의 발달 이후 항생제 개발로 가능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흑사병의 주요 원인은 페스트균(Yersinia pestis)입니다. 이 균은 주로 쥐 벼룩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되었습니다.

    당시 중세 유럽의 도시 환경은 매우 비위생적이었습니다. 쓰레기와 오물이 거리 곳곳에 쌓여 있었고, 위생 개념이 전무하여 쥐와 벼룩이 쉽게 번식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환경은 페스트균이 빠르게 확산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제공했습니다. 게다가, 중세 유럽은 활발한 무역 활동으로 아시아와 교류가 잦았습니다. 이로 인해 병균이 무역로를 따라 빠르게 전파되었습니다.

    당시 흑사병 해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시에도 전염병 환자들에 대한 격리를 해야 한다는 걸 인지하고 있었는지 의사들은 이들을 일반인으로부터 격리했으며, 환자가 사용한 물건과 거주 구역을 불로 태우는 등 나름대로의 방역조치를 취했다.

    물론 감염의 근원인 쥐와 벼룩을 불로 태워버렸으니 당연히 이는 충분히 효과가 있었으나 이에 그치지 않고 그들은 환자와 접촉을 최소화하고 치료에 매진하기 위해 두꺼운 검은색 수위를 입고 부리 부분에 각종 약제를 담아 만든 새 모양의 마스크를 쓰기도 하였다.

    게다가 환자들의 접근을 저지하고 옷가지를 벗기기 위해 나무 막대기를 들고 다니면서 흑사병의 확산을 억제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