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말쑥한바다표범57
말쑥한바다표범5724.03.18

우리나라의 수입 통관은 모두 인천에서 이루어지는 건가요?

우리나라의 수입 통관은 모두 인천에서 이루어지는 건지 궁금해서 질문을 남겨요. 인천 항 말고는 해외 물품 통관이 안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한국의 수입 통관은 주로 인천 항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인천 항 이외에도 관세법상 개항으로 규정된 부산, 인천공항, 군산, 광양항 등 다른 항구와 공항도 수입 통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국내로 수입되는 물품은 다양한 항구나 공항을 경유하여 입국합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항로를 통해 수입되는 물품들은 각 해당 항구나 공항에서 관련된 수입 절차와 통관 절차를 거쳐 국내로 수입됩니다. 따라서 인천 항이 아닌 다른 항구나 공항에서도 수입된 물품들이 정식 수입 통관 절차를 따라 국내로 반입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외 직구물품은 특송사를 통해서 수입됩니다. 특송사의 경우 항공을 이용하므로 항공을 통해서 물품이 수입이 될 때에는 인천공항으로 대부분 물품이 들어온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 외에는 선박으로 수입될 때에는 대표적으로 인천항, 평택항, 부산항 등이 대표적인 항구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수입 통관은 인천 뿐만 아니라 부산, 평택, 광양항에서도 가능합니다.

    인천항 외에도 부산항, 평택항, 광양항 등 관세법상 개항 구역에서 수입 통관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항구마다 통관 절차와 소요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통관 절차는 물품이 항구에 도착한 후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신속한 통관을 위해 도착 전에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수입신고 시에는 기본 제출서류인 수입 신고서와 요구 제출서류인 INVOICE, PACKING LIST, B/L, C/O, 검사(검역증)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수입기준 금액이 가장 많은 항구는 인천항입니다.

    부산항의 경우 부산신항 등으로 나눠져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직구 품목은 인천항으로만 들어오는 것이 아닌 다양한 항구로 들어오게 됩니다. 인천항, 평택항, 부산항, 인천공항 등 국내 다양한 항구와 입항지가 존재하게 됩니다. 다만, 물량 자체는 인천 지역이 가장 활발이 진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우리나라의 무역항 종류이오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ㅇ 서해안(8개) : 인천, 평택·당진, 대산, 태안, 보령, 장항, 군산, 목포ㅇ 남해안(13개) : 완도, 여수, 광양, 제주, 서귀포, 삼천포, 통영, 고현, 옥포, 장승포, 마산, 진해, 부산ㅇ 동해안(7개) : 울산, 포항, 삼척, 동해, 묵호, 옥계, 속초

    ㅇ 남해안(13개) : 완도, 여수, 광양, 제주, 서귀포, 삼천포, 통영, 고현, 옥포, 장승포, 마산, 진해, 부산ㅇ 동해안(7개) : 울산, 포항, 삼척, 동해, 묵호, 옥계, 속초

    ㅇ 동해안(7개) : 울산, 포항, 삼척, 동해, 묵호, 옥계, 속초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모든 수입 통관이 인천에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인천항 및 인천공항에서 통관되는 물량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인천 뿐만 아니라 김포공항, 부산항, 평택항, 속초항, 군산항 등 다양한 항구 및 공항에서 수입 통관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통관의 경우 세관을 통해서 이뤄질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모든 항구, 공항에서는 수입물품을 신고 및 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시는 대부분의 항구 및 공항에서 이러한 부분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최근에는 중국발 직구 물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관계로 해상건이면 인천이나 평택항으로 항공건이면 인천공항으로 입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미국이나 일본발 물품이라면 부산이나 김해공항건도 있을 것이므로 꼭 인천에서 모든 물품을 처리하는 것을 아니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한국해운물류협회와 한국무역협회 발표에 따르면,우리나라의 수입통관은 인천항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며, 2024년 3월 기준 인천항의 경우, 수입 물량은 725,000 TEU로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했으며, 통관 물량은 680,000 TEU로 4.8% 감소했으며, 부산항의 경우, 수입 물량은 450,000 TEU로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했으며, 통관 물량은 430,000 TEU로 2.0% 감소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수입통관 시기는 물품이 항구(공항)에 도착한 후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나 신속 통관을 위해 도착 전이라도 신고 가능합니다.



    인천항 외에 부산항,마산항,여수항,목포항,군산항,제주항,동해•묵호항,울산항,통영 항,삼천포함,장승포항,포항항,장항항,옥포항,광양항,평택•당진항,대산항,삼척

    항,진해항,완도항,속초항,고현항,경인항,보령항이 있으며,


    공항은 인천공항 외에도 김포공항,김해공항,제주공항,청주공항,대구공항,무안공항,양양공항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