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어디고
어디고

경기침체에대한 공포로 주가가 떨어졌다는데 역사적으로 경기침체가 또 언제 있었나요?

최근에 경기침체 우려로 주식을 매도하면서 더 주가가 하락했다고 많이들 애기 하시더라고요 예전에도 이런일들이 많았나요? 우리나라나 전세계적으로 경기침체는 또 언제가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셨군요. 이런 경제적 불안감이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주식 시장이 출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사적으로도 경기침체는 반복적으로 발생해 왔으며, 그때마다 주식 시장은 하락세를 경험했습니다. 우리나라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경기침체가 언제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세계 대공황(1929년~1939년)이 있습니다. 1929년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발생한 대규모 주식 시장 붕괴는 전 세계 경제를 깊은 침체로 몰아넣었습니다. 이 시기에 전 세계적으로 실업률이 급증하고, 수많은 기업이 도산했으며, 국제 무역도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가 1930년대 내내 어려움을 겪었고, 주식 시장도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둘째, 오일 쇼크(1973년~1974년, 1979년~1980년)도 대표적인 경기침체 사례입니다. 1973년과 1979년 두 차례에 걸쳐 석유 수출국 기구(OPEC)가 석유 공급을 줄이면서 유가가 급등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를 동시에 불러오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을 유발했습니다. 주식 시장 역시 큰 타격을 받았으며, 경제가 회복되는 데 몇 년이 걸렸습니다.

    셋째, 아시아 금융위기(1997년~1998년)입니다. 이 시기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이 심각한 금융위기를 겪었던 때입니다. 태국의 통화가치 폭락으로 시작된 위기가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도산하고, 주식 시장은 급락했습니다. 한국 역시 IMF의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대규모 구조조정과 금융 개혁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경제는 큰 변화를 겪었고, 주식 시장도 상당한 조정을 겪었습니다.

    넷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입니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의 붕괴로 시작된 이 위기는 전 세계 금융 시스템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금융 기관들이 도산하고, 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글로벌 경제는 큰 침체에 빠졌습니다. 주식 시장도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데 몇 년이 걸렸습니다.

    다섯째, 코로나19 팬데믹(2020년)으로 인한 경기침체도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전 세계 경제가 거의 동시에 멈췄습니다. 여행, 서비스업, 제조업 등 대부분의 산업이 영향을 받으면서 글로벌 주식 시장은 급락했습니다. 다행히도,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빠른 재정 및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일부 경제적 여파는 남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경기침체 우려(2023년~현재)입니다. 최근 들어 글로벌 경제는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지정학적 불안정 등으로 인해 다시 경기침체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주식을 매도하는 경향이 있어,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경기침체는 반복적으로 발생해왔으며, 그때마다 주식 시장은 큰 변동성을 겪어왔습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보면 경제는 결국 회복되었고, 주식 시장도 다시 상승세를 보인 사례들이 많습니다.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을 이해하면서도, 장기적인 시각에서 경제의 회복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금융위기였던 2009년 3월, 환율은 1달러에 1,57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1997년 IMF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가 최근의 경기침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경기침체는 여러 번 발생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1929년 대공황, 1987년 블랙 먼데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최근 2020년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기침체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침체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충격적인 사건들로 주식 시장에 큰 하락을 가져왔습니다. 경기침체는 불가피한 경제 주기의 일부로 과거에도 여러 차례 반복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역사상 경기침체를 돌아보면

    1. 1929년 대공황

    2. 1970년 경기침체, 석유위기

    3. 닷컴버블

    4. 2008년 금융위기

    5. 코로나로 인한 전세계적 불황

    정도를 꼽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래 차트의 회색기둥이 모두 경기침체 구간입니다.

    이 차트는 샴의 법칙과 경기침체구간을 표시하는데요, 샴의 법칙은 미국 실업률 3개월 이동평균선이 최근 12개월 실업률 최저점 보다 0.5%P높으면 경기침체가 온다는 걸 말합니다.

    근데 이 경기침체는 실제로 전미경제연구소가 몇개월뒤나 1년뒤정도까지 뒤에 발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는 상당히 많았습니다.

    미국에서 오일쇼크 등에 있어서 당시 1970년대 후반과 80년대 초반에

    경기침체도 있었으며 더불어서 닷컴버블 당시에도 버블로 인한

    경기침체,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있었다고 볼 수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1970년대 오일 쇼크: 석유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둔화.

    2. 1980년대 초반: 미국의 고금리 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

    3.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 붕괴로 인한 경제 둔화.

    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대규모 금융위기와 경기 침체.

    한국에서도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는 주기적으로 발생해왔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997년 IMF 외환위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침체는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고용 감소, 소비 위축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