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무엇을 보고 금리가 나오기 전에 예상을 하나요?
금리가 인상이 될지 인하가 될지 아무도 잘 모르는데 경제 전문가들은 무엇을 보고 느껴서
금리의 방향이나 평균 얼마 나온다는 것을 예측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그리고 고용률,
미국 연준위원들의 점도표 등을 토대로 각종 금리인상 등을
예상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발표되기 전에 보게 되는 것은 금리의 향방을 결정하게 되는 지표들을 보고 판단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현재의 금리인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CPI지수의 흐름이 예측보다 빠른지 혹은 느린지를 축대로 삼고 생각하고 향후 CPI에 영향을 미치게 될 PPI를 보조지표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연준이 금리인상에 대한 반대급부의 부담 즉 경기침체의 부담을 느끼게 될 수 있는 지표들인 실업률이나 고용현황을 보게 되는데 이 지표들이 좋을수록 (실업률이 낮고 고용률이 높은) 연준은 향후 경기침체에 대한 부담감이 없어지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근거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즉 쉽게 생각하면 향후 인플레이션의 상승에 영향을 미칠만한 지표들이 상승이나 혹은 예측보다 높은 방향성이 제시된다면 금리인상을 더 빠르게 해야한다는 근거를 가지게 되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가능성이 있는 지표들이 안좋게 나오게되면 금리인상은 완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이 이해를 해주시면 됩니다.
CPI, PPI지수가 예측치보다 나쁠 경우 - 금리인상을 크게 할 가능성이 높음
실업률,고용률이 좋다면 - 금리인상을 크게 할 가능성이 높음
여기서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생각한 후 이전 연준 인사들의 말들과 연준이 제시했었던 목표값을 함께 대입해서 생각하면 대략적인 금리인상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