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조그만애벌래8
조그만애벌래820.08.03

빨래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일반비누와 빨래비누의 차이점은?

세제를 넣고 빨래를 돌리면 얼룩이 지고 오염물이 떨어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또한, 일반 비누와 빨래비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 빨래의 원리
2. 일반비누vs빨래비누 차이
이 두가지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세탁의 원리는 매우 다양한 화학, 물리적 반응이 결합되어 복잡합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물에 녹는 오염은 물에 비벼주면 떨어져서 사라집니다.

    우리가 주로 세탁할때 없애는 오염은 '기름' 이섞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1.기름 성분을 녹여 떼어내거나 2. 기름을 원단과 분리해서 떼어냅니다.

    1. 같은 경우는 대표적으로 드라이클리닝이 있습니다.

    물 대신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오염을 녹여 옷을 깨끗하게 합니다. 하지만 매번 드라이클리닝을 하기에는 비용적, 시간적 제약이 있으므로, 가정에서 쉽게 사용하는 것이 2. 방법인 비누를 사용한 세탁입니다.

    2.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비누의 분자구조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비누는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기와 기름을 좋아하는 친유성기를 둘다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에 젖은 뒤 비누로 문지르면 비누 분자가 물속에 떠다니다 기름 오구를 만나면 친유성기를 가진 분자가,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분자가 물을 잡고 있어서 기름때를 붙잡고 물로 끌려들어 가게 만듭니다.

    이를 더 활성화 시키기 위해 비비거나, 세탁기를 돌리는 등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것이구요.

    빨래비누의 가장 큰 특징은 '형광증백제'가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이는 섬유를 더 희고 밝게 만드는푸르스름한 화학성분으로, 오랜 섬유의 노란 변색과 작용해 옷을 하얗게 보이게 합니다.

    또한, 빨래 비누는 찌는 때를 빼는 등의 세척력이 좋아햐 함으로 알칼리성이 보다 강하며, 세안 비누는 피부에 맞게 약산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 세탁 때 일어나는 세탁작용을 크게 나누어 보면, 팽윤(膨潤)·서스펜션(suspension:懸濁)·용해 등의 이화학적 작용과 영동(泳動)·접동(摺動)·압착의 기계적 작용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의 작용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행하여진다.

    더러워진 천에 세제액이 접촉되면, 세제액은 표면장력(表面張力)이 낮으므로 섬유가 재빨리 젖고이어서 팽윤하여 때와의 접착을 느슨하게 한다. 때도 세제에 의하여 재빨리 부풀어 경우에 따라서는 분열한다.

    이때 세제 중의 알칼리 조제가 이 작용을 한층 더 촉진한다. 세제액은 침윤성이 물보다 강하므로 섬유와 섬유 사이나 섬유와 때의 경계에도, 때 자체의 속에도 침입하기가 쉽다.

    이어서 팽윤하고 분열한 때의 표면에세제가 흡착하여 피막(被膜)을 만든다. 세제는 섬유의 표면에도 흡착하여 지금까지 때↔천이었던 관계가 (때↔세제)+(세제↔천)이라는 형태가 되어 때와 천과의 인연이 끊어진다.

    천에서 떨어진 때는 물 속에 떠 있을 수가 있다. 때에 따라서는 물에녹는 것이 있는데, 알칼리성액이 이를 잘 녹이므로 알칼리 조제는 이 작용을 촉진한다.

    화학작용은 온도가 높을수록 활발해지므로, 일반적으로 말해서 냉수보다도온수가 세정작용(洗淨作用)이 활발하다. 전문업자가 흰 세탁물을 빠는 온도는 60∼80℃이며, 세제로는 비누나 합성세제가 쓰이고, 알칼리 조제로서는 메타규산소다나 탄산소다가 쓰인다.

    이상의 작용으로 때가 천에서 떨어지지만 대부분은 떨어지기쉬운 상태가 된 것뿐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기계적 작용을 가하여 때를 천에서 떨어뜨린다. 거기에는 세탁물을 흔들 때 받는 힘(泳動), 비빌 때 받는 힘(摺動), 방망이질할 때 받는 힘(壓搾) 등을 이용한다. 가정세탁기는 영동과 접동의 작용이, 전문업자의기계는 접동과 압착의 작용이 주라고 생각하면 된다.

    세탁 비누에는 기존 비누에 섬유를 더 희고 밝게 만드는 ‘증백제’ 라는 일종의 염료가 추가됩니다. 증백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면 푸르스름한 빛을 내는 일종의 형광물질인데 이 물질은 오래된 섬유에 있는 때의 노란색과 작용해 섬유가 흰색으로 보이도록 만든다


  • 빨래의 원리

    세탁 때 일어나는 세탁작용을 크게 나누어 보면, 팽윤(膨潤)·서스펜션(suspension:懸濁)·용해 등의 이화학적 작용과 영동(泳動)·접동(摺動)·압착의 기계적 작용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의 작용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행하여진다.

    더러워진 천에 세제액이 접촉되면, 세제액은 표면장력(表面張力)이 낮으므로 섬유가 재빨리 젖고이어서 팽윤하여 때와의 접착을 느슨하게 한다. 때도 세제에 의하여 재빨리 부풀어 경우에 따라서는 분열한다.

    이때 세제 중의 알칼리 조제가 이 작용을 한층 더 촉진한다. 세제액은 침윤성이 물보다 강하므로 섬유와 섬유 사이나 섬유와 때의 경계에도, 때 자체의 속에도 침입하기가 쉽다.

    이어서 팽윤하고 분열한 때의 표면에세제가 흡착하여 피막(被膜)을 만든다. 세제는 섬유의 표면에도 흡착하여 지금까지 때↔천이었던 관계가 (때↔세제)+(세제↔천)이라는 형태가 되어 때와 천과의 인연이 끊어진다.

    천에서 떨어진 때는 물 속에 떠 있을 수가 있다. 때에 따라서는 물에녹는 것이 있는데, 알칼리성액이 이를 잘 녹이므로 알칼리 조제는 이 작용을 촉진한다.

    화학작용은 온도가 높을수록 활발해지므로, 일반적으로 말해서 냉수보다도온수가 세정작용(洗淨作用)이 활발하다. 전문업자가 흰 세탁물을 빠는 온도는 60∼80℃이며, 세제로는 비누나 합성세제가 쓰이고, 알칼리 조제로서는 메타규산소다나 탄산소다가 쓰인다.

    이상의 작용으로 때가 천에서 떨어지지만 대부분은 떨어지기쉬운 상태가 된 것뿐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기계적 작용을 가하여 때를 천에서 떨어뜨린다. 거기에는 세탁물을 흔들 때 받는 힘(泳動), 비빌 때 받는 힘(摺動), 방망이질할 때 받는 힘(壓搾) 등을 이용한다. 가정세탁기는 영동과 접동의 작용이, 전문업자의기계는 접동과 압착의 작용이 주라고 생각하면 된다.

    빨래비누는 가정의 일반세탁, 식기·야채의 세척 외에 빌딩의 유리, 자동차 등의 세척용으로 많이
    사용되고요, 비누 중에서 가장 값이 싸고 세척력이 크며, 찬물에 잘 녹고 빨리 헹구어집니다.
    반면에 손이 거칠어지기 쉽고 섬유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지요.

    세수비누는 값이 가장 비싸며, 거품이 많이나고, 안전합니다. 또 세수비누는 자극이 없으며,
    뛰어나고 사용감이 좋으며, 사용 중에 깨지지 않습니다.


  • 빨래는 의복에 묻은 때를 씻어서 빼는 것입니다.

    의복에 묻은 때를 없애기 위해서 원시시대에는 물 속에 빨래를 흔들거나 손, 발을 이용해 옷을 밟고 비비면서 때를 제거 했습니다.

    그러다가 인류가 도구를 사용하면서 빨래를 방망이나 돌로 두드려 빠는 방법을 쓰게 되었고, 세탁을 도와주는 물질을 발견하면서 물에 세탁제를 넣어 더 효과적으로 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빨래의 원리부터 설명드리자면, 원시시대의 방법인 빨래를 물에 흔들거나 손으로 비비고 발로 밟는 행위는 모두 옷과 물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마찰력으로 인해 옷 위에 붙은 때, 먼지 등 더러운 물질을 제거하는 원리입니다.

    세탁제의 경우 처음엔 잿물을 이용하였는데 재의 탄산나트륨과 탄산칼륨이 가진 알카리성을 이용하여 단백질로 이뤄진 때의 세포막을 벗겨내고 분해하는 원리입니다.

    요즘에 나오는 세탁세제는 다양하게 때를 빼기 위한 성분들이 들어 있는데, 주로 계면활성제가 그 역할의 주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의 경우 물과 어울리려하는 친수기, 기름을 둘러싸려하는 친유기를 둘다 가지고 있는데 주로 기름성분인 때를 친유기부분이 둘러싸게 되고 자연스럽게 친유기성분으로 둘러쌓여진 때는 옷감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는 원리입니다.

    일반비누와 세탁비누의 차이점은 제일 먼저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 세수비누의 경우 향이 들어 있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주로 알칼리성이 약하거나 중성, 약산성인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세탁비누의 경우 세탁 용도로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알칼리성이 더 높고 섬유를 희고 밝게 만드는 증백제가 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