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환자는 완치가가능한 병인건가요?
아는 지인이 급성 백혈병에 갑자기걸렸거든요. 백혈병에 걸리니 피가 안멈추고 그러네요. 급성 백혈병은 완치가 가능한 질병인가요:?
백혈병 안에도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약물치료만으로도 완치가 가능한 유형과 골수이식을 해도 성공율이 낮은 종류까지 완치 여부의 정도가 다릅니다.
완치를 기대할수 있는 질환이긴 하나 소아백혈병의 경우 완치률이 높고 성인은 상대적으로 어려울수 있습니다.
백혈병의 치료에는 항암화학요법이 기본입니다. 백혈병의 종류, 진행 상황, 진단 시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의 접근 방식이 달라집니다. 급성 백혈병의 경우, 먼저 골수 내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관해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항암제는 백혈병 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므로 골수 내 정상 혈액 세포도 파괴됩니다. 따라서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와 환경 조절이 필요하며 일정 기간 동안 타인의 혈액을 수혈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소화기 점막 세포나 모낭 세포와 같은 빨리 자라는 세포들도 손상을 입어 점막염, 설사, 탈모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3주 정도의 회복 기간을 거친 후 골수 검사를 통해 백혈병 세포가 5% 미만이고 정상 혈액 수치를 보이면 완전관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해에 성공하더라도 치료가 끝난 것은 아니며, 관해 상태를 오래 유지해야 완치가 가능합니다. 완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후 공고 요법으로 여러 차례의 항암화학요법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만성 백혈병 치료는 급성 백혈병과 차이가 있습니다. 만성 백혈병 중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이상으로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악성 혈액 질환으로, 만성기, 가속기, 급성기로 나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글리벡, 부설판, 하이드리아 등의 경구용 약제 투여와 인터페론 주사,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등이 있습니다. 만성기의 치료 성적이 가장 좋으며 일반적으로 필라델피아 염색체 재배열을 억제하는 글리벡 약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글리벡에 내성이 생겨 치료에 실패하거나 부작용으로 더 이상 복용이 불가능할 경우, 2세대 약물인 타시그나, 스프라이셀로 대체합니다. 환자마다 약물 반응과 질환의 진행이 다르므로 약물의 반응 경과와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