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중에 ROE라는 용어가 있더라고요 무슨 뜻인가요?
주식관련 영상들을 보다가 단순히 이사람들이 하는 말만 들을게 아니고 내가 조금씩이라도 공부를 해야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게되었습니다
가장 기초적인 용어부터 시작해볼려고하는데 제가보는 유튜버분께서 ROE를 보는게 엄청 중요하다고 하더라고요 이 ROE가 뭘 말하는건지 어떻게 중요한건지 그리고 좋은 기업은 ROE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는지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많이 창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투자 가치가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습니다. ROE가 낮다는 것은 기업이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ROE는 산업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해야 합니다. 일부 산업은 특성상 ROE가 낮을 수 있습니다. 기업의 부채 비율이 높으면 ROE가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E와 함께 부채 비율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과거 ROE 추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RPE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기업이 주주의 돈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ROE가 중요한 이유는 높을 수록 주주가 투자한 돈 대비 수익성이 좋고,
지속적으로 15에서20% 이상 유지하는 기업은 경쟁력과 성장성이 강한 우량 기업입니다.
좋은기업의ROE특징은 일정 수준인 15% 이상에서 꾸준히 유지되고,
변동성이 크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라는 주주자본수익률로 보시면 됩니다. Return of Equity로 자기자본의 이익률을 말하며 즉 주주의 자본에 대한 이익률 개념이므로 이 ROE가 시장의 10년물 시장금리보다는 높아야 하는 요구수익률 개념입니다.
즉 기본적으로 ROE가 높아야 그만큼 회사의 매년 이익성장률이 어떤 수준인지 밸류에이션 평가지표와 성장성지표의 핵심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ROE가 높이기 위해서는 매년 이익이 커져야 하고 또 중요한 항목인 자본금의 항목이 작아야 좋습니다.
또한 자본금이 작기 위해선 주주환원율을 높여서 자본의 항목을 비대하지 않고 적정하게 유지하는게 핵심으로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해서,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로 계산됩니다.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 의 약어로 자기자본이익률이라는 뜻입니다.
기업이 소유한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지 나타내는 지표로 ROE가 높은 기업은 재무 상태가 건전하고 수익성이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순이익/자기자본으로 계산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이익률 이며 기업이 자기의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는지
보여주는 경제적인 지표를 의미 합니다.
당기 순이익이 높을 수록, 자기자본이 낮을수록 ROE는 커지며 높을수록
경영 효율성이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대비 얼마의 이익을 올렸는지에 대한 수치를 ROE라고 합니다
ROE가 중요한 이유는 이 비율이 높을수록 회사의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수익화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이 ROE 지표가 낮으면 현재 영업에 있어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