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ROA는 왜 순영업이익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나요?
ROA는 당기순이익과 순영업이익을 이용해서 산출할 수 있다고 하는데
왜 순영업이익을 이용해서 산출할 수 있는건가요?
ROA의 전통적인 측정치들을 살펴보면
총자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총자산 이고
총자산순영업이익률은 = 이자비용차감전이익/총자산
인데
총자산순영업이익률의 경우 분자에 순영업이익이 아닌 이자비용차감전이익을 사용하고 있어서
ROA와 순영업이익 간의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만약 순영업이익을 사용한다면 세후 순영업이익을 사용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말씀하신대로 당기순이익을 가지고 계산합니다. 이걸 순영업이익으로 하든 당기순이익으로 하는건 전적으로 본인 판단입니다. 즉, 어떨걸 써도 아무 상관없습니다 ^^
단 주의할점은 본인이 계산할떄 모든 기업들에 동일 기준으로 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예를들어 삼전, 하이닉스를 비교할떄 둘다 영업이익으로 계산해야지, 삼전은 영익으로 하닉은 당기순이익으로 하면 안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세후로 계산하는 이유는 큰 의미는 없지만, 세금과 기타비용들을 제외하고 순전히 영업으로 얻은 성과만을 계산해서 비교할려는 의도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