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부모가 어떻게 도와줘야 하죠??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스스로 숙제를 하고 학습 계획을 세우도록 지도할 때, 부모가 직접 도와주는 것과 스스로 하도록 지켜봐 주는 것 중 어느 방식이 장기적인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형성이 더 효과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라면

    아이에게 인지시켜 줄 것은 자기주도학습 이란 단어의 자체 의미를 알려주고, 왜 자기 스스로 학습을 해야만 하는지

    그 이유를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눈높이 설명을 해주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학습을 설계하고, 설정하고 학습목표를 세우는 방법을 알려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함께 해 볼 것이 또 하나 있다면 생활계획표를 작성하여 그 시간대 별로 해야 할 일들을 작성해 보는 것입니다.

    아이가 생활계획표 대로 실천 할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어떻게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직접 도와주면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이나, 장기적으로는 자기주도성 저해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켜봐주는 것은 장기적으로 자기주도학습 능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법은

    초기에는 함께 계획 세우기, 실행은 아이에게 맡기기, 성취 경험을 반복하게 하기, 일관된 루틴 만들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아직 조기 조절 능력이 미숙하므로, 초기엔 부모의 직접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도움을 줄이고, 아이가 스스로 해보게 하면서 성공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처음에는 함께 계획을 세우고, 다음에는 아이가 세운 계획을 부모가 확인만 하는 방식으로요.

    이렇게 단계적으로 자율성을 키우게 하면 장기적으로 자기 주도 학습에 더 효과적입니다.

    결국 목표는 혼자 할 수 있게 하는 부모(보호자)의 역할임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저학년 시기에는 부모의 균형잡힌 개입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숙제 방법이나 학습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옆에서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도와주되, 점차 단계를 줄여 스스로 할 수 있게 기회를 주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즉, 초기에는 안내자 역할을, 점차 지켜보며 작은 성취를 인정해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좋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