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다정한돼지87
다정한돼지8723.04.19

우리나라 금리를 안높여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우리나라에서는 금리를 동결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미국은 오히려 5.25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했더라고요

이렇게 금리가 양국간에 차이가 심해도 괜찮은걸까요??

일본은 1프로도 안되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른나라와 금리차가 심하다는건 외국의자본의 투자받기 힘들다는겁니다


    쉽게말해 a은행은 이자를 오프로 주는데 b은행은 이프로만 준다면 당연히 a은행으로 자금이 몰리겠죠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며 우리나라는 주택거품으로 인해 가계부채가 많아 더 올리는것도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벌어진다면

    그만큼 우리나라입장에서는 원달러 환율 급등 및

    자본 유출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재베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너무 커진다면 자본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가계부채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은 한국 경기에 치명적일수도 있습니다.

    더해서 한국의 물가는 미국만큼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작년을 시작으로 미국을 따라서 빠르게 기준금리를 인상하였습니다. 이렇게 미국을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였던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심화로 인한 달러환율의 상승을 막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런데 달러환율의 상승은 '현재의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아니라 '향후 발생하게 될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수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보니, 미국의 기준금리인상 기조가 완화되고 앞으로의 기준금리 정점 수준이 낮아질 것이 예측되면서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아무리 심화되더라도 1.75%범위내에서 움직이게 될 가능성이 높기에 달러환율의 상승은 제한적이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국내의 부채리스크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에 부담이 있었던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달러환율이 안정을 찾게 된다면 굳이 금리를 인상해야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가 다시금 빨라지지 않는 이상은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