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실한바다매161
성실한바다매16123.07.23

비는 어떻게 오는 걸까요???

하늘이 맑다가도 어느순간 오는 소나기는 어떻게 오는걸까요?

지금처럼 계속해서 장마가 오는건 또 어떻게 오나요?

언제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기는 대기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기 불안정이란 대기의 온도와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기 불안정이 발생하면 공기의 밀도 차이로 인해 공기의 움직임이 활발해집니다. 이때 공기의 움직임이 강해지면 구름이 형성되고 비가 내리게 됩니다 장마는 여름철에 발생하는 계절성 강우입니다. 장마는 태풍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태풍은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강한 바람과 비를 동반합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중국대륙에서 발생하는 고기압으로 우리나라를 북쪽에서 덮칩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우리나라의 기온을 낮추고 습도를 높여 장마를 유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

    현재는 장마철이라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고 있지만, 8월이 되면 다시 맑은날을 볼 수 있을듯하네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바람이나 태양의 열에 의해 기체 상태로 변환되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로 변합니다. 이는 바다, 강, 호수, 땅의 표면에서 증발하거나 식물의 증발과 호흡에 의해 발생합니다.수증기는 대기 중에서 상승하면서 고도가 낮은 온도로 가까워질 때 응결이 시작됩니다. 수증기는 냉각되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것이 구름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응결된 수증기는 구름 안에 존재하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구름이 성장합니다. 구름 안에서는 지구 중력과 대기 상승 기류에 의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상승하거나 하강합니다구름 안에서 충분한 수분과 충돌이 발생하면 물방울이 더 커져서 강수 형태로 변합니다. 이 강수는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강수 형성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구름 안에서 충분히 커지면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비가 지면으로 내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해수면 포함)이 부분 가열이 된다. → 밀도가 작아져 가벼워진다. → 상승기류가 생긴다. → 상승하는 공기덩어리는 단열팽창을 하여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서 응결되거나 빙정이 된다. 또는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만나서 응결되거나 빙정이 셍기는 경우도 많음. → 응결되거나 빙정이 된 것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다가 → 차츰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지 못하면 비나 눈이 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이 비가 오는 원리이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기는 대기 중에 강한 수증기가 존재하고, 그 수증기가 높은 곳으로 상승하면서 응결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빠른 응결로 인해 구름이 급격히 형성되고 비가 강하게 내리는 것이 소나기입니다. 소나기는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강한 비가 내리는 현상으로, 하늘이 맑다가도 기상 상황이 급격히 변하면서 발생합니다.

    장마는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날씨가 불안정하고 습도가 높아지는 기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여름철에 발생하며, 습도가 높아지고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증발하면서 구름이 형성되고 비가 내리게 됩니다.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기압이 높고 대기가 안정적인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맑고 안정적인 경우는 고기압이 지속되는 경우로, 눈에 보이는 구름이 거의 없거나 아주 조금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상 조건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지구 상의 여러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정확한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는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서로 다른 기온과 습도를 가진 공기 M과 N이 만나는 경계를 전선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전선에서는 기압이 낮아지고 공기가 상승하면서 구름이 발생하고 소나기가 올 수 있습니다.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악 지역에서는 공기가 상승하면서 구름이 형성되고 소나기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기온, 습도, 풍향 등의 기상 조건이 갑작스럽게 변화하면 소나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마는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비가 오는 기후 현상을 말합니다. 장마는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이나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발생하며, 고기압과 저기압이 반복적으로 교차하여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지역에서 오랫동안 비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는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압이 높고 대기가 안정적인 날씨에는 하늘이 맑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 고기압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맑은 날씨가 기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상은 매우 복잡하고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하늘이 맑은 날은 주로 낮 기온이 올라가면서 구름이 흩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