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기막힌캥거루206
기막힌캥거루20623.08.30

상처난곳에 과산화수소수를 바르면 부글부글 거리나요?

넘어져서 까지고 피가 날 만큼 파였어요 생채기난 곳에 과산화수수수 소독약을 바르니 부글부글 기포가. 생기는데 어떤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넘어져서 까지고 피가 날 만큼 파인 생채기에 과산화수소 소독약을 바르면 부글부글 기포가 생기는 현상은 산소 기포 현상이라고 합니다. 과산화수소는 강력한 산화제로, 생채기의 피와 세균을 산화시켜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산소 기포가 생채기 표면에 모여 부글부글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생채기가 감염되지 않도록 돕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산소 기포가 세균을 괴사시키고, 생채기 표면을 건조시켜 세균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네, 상처 부위에 과산화수소(퓨트)를 바르면 부글부글 거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과산화수소는 산소를 방출하는 반응을 통해 효과적으로 살균 및 살해 작용을 하는 항균제로 사용됩니다. 특히 상처나 부상 부위에 사용되면, 상처에 있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과산화수소가 부글부글 거품이 나는 것은 산소 방출 반응 때문입니다. 상처 부위에서 나오는 피나 상처 피부에서 생성되는 피부기름 등이 과산화수소와 만나면 산소 방출이 일어나면서 거품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거품은 상처나 부상 부위의 표면에 있는 미생물과 더불어 오염된 물질을 제거하고 청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과산화수소를 상처 부위에 사용할 때, 사용하는 농도와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높은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체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나 의료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산화 수소는 혈액 및 세포속에 존재하는 카탈라아제 라는 효소에 의해 급속한 분해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기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 소독약을 바르면 생채기난 곳에 부글부글 기포가 생기는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과 반응하여 산소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과산화수소는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과 반응하여 산소 기포를 발생시킵니다. 이 산소 기포는 세균을 죽이고,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해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는 분해되면서 산소와 물로 분해됩니다. 이때 분해 반응에서 생성된 산소가 부글부글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리고,상처 표면에 있는 효소인 카탈라제(Catalase)와 반응하여 분해됩니다. 이 반응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그 결과로 많은 양의 산소가 방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흔히 부글부글 거리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과산화수소수가 상처 부위에 적용되면 산소 분해 작용이 발생하여 거품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거품은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상처를 청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글부글 거리는 반응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각 개인의 상처 상태, 피부 민감도 및 과산화수소수의 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상처나 피부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수는 산소를 방출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상처 부위에 바르면 과산화수소수가 분해되면서 산소가 방출됩니다. 이 산소는 상처 부위에 존재하는 피, 세포 및 조직과 반응하여 거품을 생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