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2일 전

태양계 행성중 대기가 적고 많은건 어떤 이유인가요

화성은 지구에 비해서 대기가 적다고 하는데요 반면 금성은 두꺼운대기층이 있는것으로 압니다 그렇다면 태양계 행성중에서 대기가 적고 많은건 어떤 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행성이 대기를 갖고 있는 정도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와 행성의 크기(중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행성이 대기를 갖고 있기 위해서는 태양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행성의 온도에 영향을 주며 이는 대기를 구성하는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에 영향을 줍니다.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는 기체의 절대온도에 비례하므로 태양에 가까울수록 커집니다. 운동 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기체 분자의 운동 속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태양에 가까이 있는 행성은 이러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기체를 붙잡기 위해서는 매우 큰 중력이 필요합니다. 같은 온도에서 기체 분자의 운동 속도는 분자량이 클수록 느려지므로 태양에 가까운 행성은 중려깅 크거나 아니면 분자량이 커서 온동 속도가 느린 기체만 붙잡을 수 있습니다. 수성은 태양에 너무 가깝고 크기고 작아 기체를 붙잡을 수 없어 대기가 없습니다. 금성은 분자량이 큰 이산화탄소(44)만 붙잡고 있습니다. 지구는 적당한 거리에 있어 질소와 산소가 주성분을 이루는(평균 분자량은 28.8) 대기를 갖고 있습니다. 화성은 표면 온도는 낮지만 크기가 작아 중력이 작으므로 분자량이 큰 이산화탄소만 붙잡고 있지만 대기압은 지구의 1/100에 불고합니다. 목성과 토성 등은 태양으로1ㅜ터 멀리 떨어져 표면 온도도 낮고 크기가 커서 중력이 크므로 분자량이 작은 수소(2)와 헬륨(4)을 붙잡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